유럽발 ‘제2 금융위기’ 심상찮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유럽 재정위기가 제2의 금융위기로 번질 조짐이다. 재정난은 한번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고, 재정긴축은 경기침체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또 재정위기에 빠진 나라의 국채를 들고 있는 유럽 금융사들은 등급 하락에 불안해 하고 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몰린 셈이다. 여기에 미국·유럽이 금융 규제를 강화하면서 투자 심리는 더 위축됐다.

21일 일본 닛케이지수(9784.54)는 1만 선이 무너졌다. 호주·대만 증시도 동반 하락했다. 영국·독일·프랑스 등 주요 유럽 증시도 장중 1~2% 안팎 떨어졌다. 미국 뉴욕 증시의 다우지수는 개장 초 1만 선이 깨지는 등 불안한 흐름을 보였다.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주가가 20% 더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가도 경기침체 우려로 보름간 22% 내렸다. 그러나 중국 상하이 증시는 21일 상승(1.1%)했다. 중국 입장에선 세계 경제의 침체가 중국 경기 과열에 해열제 역할을 할 것으로 해석됐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미국 상원은 금융 규제안을 의결했다. 하원 법안과의 조율이 남았지만, 규제 강화는 기정사실이 됐다. 은행의 규모와 투자행위 제한, 금융소비자보호청 신설, 신용평가사 규제 등이 골자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규제 강화가 가뜩이나 불안한 시장에 위기감을 고조시켰다”고 평가했다. 상황이 심상찮게 돌아가자 각국 정부의 대응도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영국·독일 재무장관은 26~27일 긴급 회의를 한다. 일본 정부는 1조엔을 추가로 풀었다.

남·북 긴장 고조라는 짐을 하나 더 진 한국 정부는 21일 경제동향점검회의를 했다. 단계별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 합동대책반도 구성했다. 정부는 신제윤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을 25일 뉴욕에 보내 한국의 위기대응 능력을 신용평가사에 설명할 방침이다.

 허귀식·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