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비 9.5%↑… 7년 만에 최대폭 증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경기가 살아나면서 가계의 벌이가 좋아지고 씀씀이도 커졌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에 따르면 1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72만8500원으로 1년 전보다 7.3% 늘었다. 2007년 3분기 이후 증가율이 가장 높다. 경기회복 덕분에 근로소득(4.9%)이 오른 데다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사업소득(12.4%)도 많이 늘었다. 기초생활보장 급여 같은 사회보장 수혜금이나 공적연금이 늘어나 이전소득(13%)도 많아졌다. 특히 5700억원을 쏟아 부은 정부의 희망근로사업과 지난해 74조6000억원에서 올해 81조2000억원으로 복지 지출이 늘어난 덕분에 하위 20%에 속하는 저소득층의 소득이 16%나 늘었다.

가계지출은 303만7100원으로 1년 전보다 9.1% 증가하며 처음으로 월 300만원 선을 넘어섰다. 이는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최대 증가율이다.

가계지출 중 소비지출 역시 월평균 234만1800원으로 역대 최고(9.5%)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항목별로 단체여행비(78.9%)와 서적(11.9%)에 쓴 돈이 늘어나면서 오락·문화 지출이 18.3% 증가했다. 4월 시작된 에너지 다용량 가전제품의 개별소비세 부과를 앞두고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이 17.8% 늘었다. 유가·도시가스비가 오르고 전력사용량이 늘면서 교통(17.0%)과 주거 및 수도·광열(13.9%)에도 돈이 많이 들어갔다.

세금·이자 등 경직성 지출인 비소비지출은 69만5300원으로 7.5% 증가했다. 경상조세(15.9%)·이자비용(12.4%)·연금(10.8%)이 두 자릿수로 늘었다.

서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