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호주대사 "호주는 매년 1만여명 난민수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인도양의 호주령 크리스마스섬 인근에서 6일째 오도가도 못하는 국제난민 4백34명(호주 정부 집계)의 처리문제가 국제이슈화 하고 있다.

국제인권연맹(FIDH)은 30일 호주 정부에 대해 "난민들에게 최소한 일시적인 망명을 허용하라" 고 촉구했고 매리 로빈슨 유엔인권고등판무관도 "가장 인접한 항구가 난민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유엔 인권협약에 따라 호주가 이들 난민을 수용해야 할 최우선적인 책임이 있다" 고 말했다.

미국도 리처드 바우처 국무부 대변인의 성명을 통해 "호주.노르웨이.인도네시아 등 관련국들이 사태 해결에 협력하기를 바란다" 고 논평했다.

이에 대해 콜린 헤슬타인 주한 호주대사는 31일 "호주 정부는 이들 난민을 책임져야 할 어떠한 법적인 의무도 없다" 고 강조했다.

이날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가진 헤슬타인 대사는 "이번 사태와 관련한 일부 외신보도가 상당히 잘못됐다" 면서 "특히 호주가 노르웨이 선박에 조난된 난민을 구해달라고 요청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 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달 26일 어선을 타고 인도네시아를 출발해 호주쪽으로 항해하던 난민들이 조난을 당했고 호주 당국은 그 조난신고를 근처를 지나가던 노르웨이 화물선에 전해 주었을 뿐" 이라면서 "당초 난민들은 노르웨이 선박이 구조작업후 이들을 싣고 가장 가까운 인도네시아항구로 향하고자 했으나 선장을 협박해 호주쪽으로 방향을 틀게된 것" 이라고 설명했다.

헤슬타인 대사는 "호주 정부는 지난 4년간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이란출신의 난민을 지원하는데 2천만달러(약2백60억원)이상을 기부했다" 면서 "유엔차원에서 연간 1만명 이상의 난민을 받아들이는 호주를 이번 사태로 인해 부도덕한 나라로 매도해서는 안될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높아가는 가운데 헬렌 클라크 뉴질랜드 총리는 31일 "뉴질랜드가 난민을 일부 수용하겠다" 면서 "인근 다른 나라들도 그 짐을 함께 나눠 져야 한다" 고 공동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또 동티모르 과도내각도 이날 난민 수용여부를 우호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으며 동티모르의 유엔과도행정기구 관리들도 "1만5천명의 난민수용시설을 갖고 있다" 면서 "일시적으로 난민들을 수용할 준비가 돼 있다" 고 확인하는 등 난민처리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대응노력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다음주 중에는 해결책이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유권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