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이렇습니다] 정부 결산, 가계·기업 살림과 다른 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7면

6일 발표된 2009 회계연도 국가결산 자료는 지난해 정부의 살림살이를 한눈에 보여준다. 이미 예상했던 대로 재정적자 폭이 컸고 그래서 나랏빚도 크게 늘었다. 정부 결산은 일반 가계나 기업의 결산과 달리 좀 복잡하다. 몇 가지 궁금증을 정리했다.

◆국가채무의 개념=국가재정법에서 말하는 국가채무는 중앙정부의 채무다. 지난해 346조1000억원이었다. 하지만 국제기준으로는 지방정부를 포함한 ‘일반정부’의 채무(359조6000억원)가 나랏빚이다.

문제는 지방정부 결산이 아직 끝나지 않아 지방정부 빚은 잠정치(13조5000억원)만 알 수 있다는 점이다. 6월 이후 지방정부 빚이 확정되면 국제기준인 일반정부 채무도 약간 달라질 수 있다.

◆적자보다 빚이 더 큰 이유=일반적으로 1년간 수지를 따져봐서 적자가 나면 딱 그만큼 빚이 늘어나는 게 보통이다. 가계부를 떠올리면 쉽다.

정부는 좀 다르다. 지난해 정부는 17조6000억원(통합재정수지)의 적자를 봤는데 중앙정부 빚은 48조2000억원이나 늘었다. 이는 통합재정수지가 일반·특별회계와 각종 기금을 아우르고 있기 때문이다. 특별회계와 기금에서 이익이 났다고 해도 맘대로 이를 나랏빚 갚는 데 쓸 수가 없다. 각각 법률이 정한 특별한 목적을 위해 딴 주머니를 찼기 때문이다.

지난해 양곡관리특별회계에서 3631억원의 이익이 난 것을 비롯해 5개 정부기업 특별회계에서 7500억원의 이익이 났다. 국민연금 등 34개 기금의 이익은 21조9000억원이었다. 이를 가져다 쓸 수 없으니, 정부는 일반회계 적자를 메우기 위해 34조원의 적자국채를 발행해야 했다.

◆재정적자에도 세계잉여금=정부는 일반·특별회계에서 6조4826억원의 세계잉여금을 남겼다. 재정적자가 많았다는데 대체 무슨 돈을 남긴 걸까. 세계잉여금은 단순히 쓰고 남은 여윳돈과는 좀 다르다. 세계잉여금은 총세입 261조원에서 총세출 252조원을 뺀 뒤 전년도 이월액을 제한 것이다.

여기서 세입에는 조세수입과 함께 정부가 쓸 돈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해 민간에서 빌려온 돈(적자국채 발행분)도 포함돼 있다. 남았다고 함부로 쓸 돈이 아니란 얘기다.

서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