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한·일 과거사 현안 2년째 언급 안 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1일 이명박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선 과거사와 관련해 일본에 던지는 메시지가 부각되지 않았다. 기념사에서 이 대통령은 “올해는 한·일 강제병합 100년이 되는 해이며,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이자 광복군 창설 70주년”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일제의 총칼 앞에 맨손으로 맞서 당당히 태극기를 흔들며…” “91년 전 오늘, 우리 민족은 일제의 혹독한 강압에 굴하지 않고…” 등 3·1운동 당시를 회고하는 표현만 사용했다. 특히 “우리 민족은 일본의 잘못을 추궁하지 않고, 다만 일본의 비정상을 바로잡아 옳은 길로 이끌고자 했다”고 3·1운동 정신을 평가했다.

이 대통령의 이런 접근법은 그동안 역대 대통령들의 3·1절 기념사와 비교된다. 역대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바람직한 한·일 관계 또는 양국 간 과거사 현안을 언급하거나 일본 정부나 정치권의 각성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주로 담았다. 이 대통령도 취임 첫해인 2008년에는 “한국과 일본은 서로 실용의 자세로 미래지향적 관계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 “역사의 진실을 외면해선 안 되지만 언제까지나 과거에 얽매여 미래의 관계까지 포기하고 있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해와 올해는 일본에 대한 메시지가 빠졌다. 대신 이 대통령은 3·1운동 정신의 발전적 계승 쪽에 무게를 실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상징적이고 구호적으로 매달리듯 자주 언급하기보다 실제 외교를 통해 과거사 관련 현안 등을 제대로 풀어내야 한다는 게 이 대통령의 생각”이라며 “일본이 알아서 잘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