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새해 남북관계 어떻게 될까] 평화 프로세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2면

2001년은 한반도 평화정착의 해가 될 전망이다.

평화프로세스가 제대로 진행될 경우 남북은 지난 47년간 유지해온 정전상태에 마침표를 찍고 새로운 역사의 장으로 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냉전구조 해체의 길은 멀고도 험하다.

한반도 평화정착 프로세스는 크게 남북한과 4자회담의 두 축(軸)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냉전구조가 민족 내부 갈등과 국제냉전의 두 측면을 안고 있으니 국내.국제 두 채널을 동시에 가동해야 비로소 냉전의 빙하를 녹일 수 있다는 얘기다.

평화정착 1라운드는 2차 남북 정상회담이 될 것이다.

청와대는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평화정착의 주요 계기로 활용할 계획이다.

우리측은 지난 6월 평양 정상회담이 '통일회담' 이었다면 2차 서울회담은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살려 '평화회담' 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도 지난해 9월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金위원장의 서울 방문이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한반도 평화정착의 중요한 계기가 돼야 한다" 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또 경의선 복원사업을 둘러싼 국방회담을 평화정착 보조 채널로 활용할 방침이다. 정부는 국방회담을 통해 ▶신뢰구축▶긴장완화▶군비통제 등의 방안을 북측과 협의할 구상이다.

한편 국제적 차원에서 金대통령은 4자회담을 냉전구조 해체의 견인차로 할용할 생각이다.

金대통령은 올 봄에 워싱턴을 방문, 부시 대통령과 한반도 평화정착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할 계획이다.

그는 자신의 한반도 평화정착 구상을 설명하는 한편 4자회담에 대한 워싱턴의 협조를 요청하게 될 것이다.

특히 2(남북한)+2(미국.중국)방식을 역설할 공산이 크다. 4자회담 전략과 역할분담에 대한 공감대가 마련되면 한.미 양국은 제네바에서 4자회담을 개최, 정전협정의 평화체제 전환을 모색하게 될 전망이다.

그러나 평화정착의 걸림돌도 만만찮다. 金위원장이 서울 방문을 계기로 '낮은 단계 연방제' 문제를 본격 거론하게 되면 우리의 평화전략은 다소 복잡해질 전망이다.

또 평양이 평화협정과 관련, 서울을 상대적으로 소외시키는 분위기로 몰고 갈 경우 평화프로세스는 일정 기간 표류할 수 있다.

주한미군이 평화정착의 장애물로 불거져 나올 수도 있다.

북한은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되면 주한미군은 당연히 철수하거나 중립화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은 남북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유엔사 위상변화 정도는 가능하다는 생각이지만 한.미 양국이 이 문제를 놓고 미묘한 견해차를 보일 수 있다.

북한이 또 과거처럼 "남북 군사력을 10만명으로 감축하자" 는 돌발성 제의를 해올 경우 평화정착 프로세스는 브레이크가 걸릴 수 있다.

평화협정 협상과정에서 정전협정 및 그 원인으로서의 한국전쟁 책임문제가 돌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올해는 정책 당국자들이 그 어느 때보다 대북정책의 투명성과 국민적 컨센서스 형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기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최원기 기자

▶도움말 주신분

한국통일포럼 소속 전문가

백영철 회장(건국대 교수)

권만학 경희대 교수

남궁영 한국외대 교수

박건영 가톨릭대 교수

박명림 고대亞硏연구실장

서동만 외교안보硏 교수

심지연 경남대 교수

임혁백 고려대 교수

조동호 한국개발硏 북한팀장

하영선 서울대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