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 왜 1월로 당겼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내각 개편의 시기가 '내년 1월' 로 당겨졌다는 게 여권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1월 10일 전후' 냐, 아니면 '1월 하순' 이냐의 선택만 남아있다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5일 "김대중 대통령이 짜고 있는 국정쇄신의 일정은 당직 개편→내년초 신년사를 통한 대국민 설득→개각" 이라면서 "국정쇄신 흐름의 탄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내년 1월을 넘겨선 곤란하다" 고 강조했다.

여권에선 그동안 개각 시기를 4대부문(기업.금융.노사.공공)의 구조조정이 일단락되는 내년 2월께로 잡아왔다. 경제장관들의 개혁성과를 평가해 반영한다는 논리였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4대부문 중 기업.금융부문은 올해 말까지 끝내기로 했는데 내년 초면 그 결과가 드러나는 것 아니냐" 고 말했다. 그는 "金대통령의 신년사에 담겨질 집권 후반기 국정쇄신의 청사진이 내각에 주는 하중(荷重)을 감안할 때 그 시기가 당겨질 것" 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 김중권 대표는 이날 "국회가 잘 돼야 한다" 고 말했다.

이번 임시국회에서 다룰 정부조직법안(재경.교육부장관의 부총리 승격, 여성부 신설)과 내년 1월 중순 예정된 한빛은행 사건 청문회(12~17일).공적자금 청문회(16~20일)를 의식한 발언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공적자금 청문회는 전.현직 경제팀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어서 현 경제팀이 설거지한 뒤 1월 하순께 개각이 적절하다" 고 설명했다. 그럴 경우 청문회 뒤에 설 연휴(23~25일)가 있어 개각 시기는 1월말이 될 전망이다.

그러나 다른 관계자는 이번 개각은 경제.교육부총리의 승격 및 여성부 신설과 연결돼 있어 정부조직법의 개편작업이 완료(국회통과→법안공포)되는 1월 10일께가 적기(適期)라고 설명했다.

이양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