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집어 본 정치] '미스터 로즈' 가시에 찔리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미안하지만 나도 경계심이 부족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정부의 경제낙관론을 이렇게 반성했다. 16일 제주에 내려가 지역인사 2백여명을 만난 자리에서다.

金대통령은 "경제가 하강상태에 있다" "찬바람이 불고 여러분이 걱정하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면서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을 국민과 같이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런 원인은 물론 정부에 있다" 고 실토했다. "IMF 사태(외환위기)가 끝났다고 한 것은 경제 전반이 만족할 만하다는 것이 아닌데 우리 내부에 만족하거나 해이해진 부분이 있었다" 는 것이다.

金대통령의 이같은 반성은 그동안 정부의 '경제 낙관론' 을 확실히 뒤집는 것이다.

경제 낙관론을 둘러싼 공방의 한복판에 청와대 이기호(李起浩)경제수석이 있다. 李수석은 경제위기론이 제기될 때마다 "너무 비관만 할 필요는 없다" 며 거시지표를 들어 낙관론을 펴왔다.

민주당의 일부 고위 당직자들은 사석에서 李수석을 '미스터 로즈(장밋빛)' 로 부르며, "金대통령의 경제인식을 잘못 이끈 책임을 져야 한다" 고 교체를 건의해 왔다.

더구나 李수석은 '부실금고 사건이 한두 건 더 있을 것' 이란 발언으로 시중 자금난을 가중시킨 책임도 안고 있다.

이에 대해 金대통령은 李수석을 질책했다.

김영삼정권 말기인 1997년 1월말 한보사건이 터졌을 때 이석채(李錫采)경제수석은 "은행이 도산해도 정부지원이 없다" 고 말해 파문을 일으켰다.

청와대 관계자는 17일 "지금 경제수석은 노태우정권 때 문희갑(文熹甲).김종인(金鍾仁), YS정권 때 한이헌(韓利憲).이석채 수석과 비교할 때 역할공간과 위상이 다르다" 고 말했다.

그렇지만 "李수석은 경제 흐름이 꼬이는 미묘한 시기에 경제수석의 말 한마디가 갖는 하중(荷重)과 파장을 잊은 것 같다" 고 이 관계자는 지적했다.

금고사건 발언과 관련해 한나라당은 李수석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고, 진념(陳稔)재정경제부장관의 정부 경제팀과 '호흡이 맞지 않는다' 는 지적이 여권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처럼 안팎의 공격에 李수석은 "낙관론을 편 적이 없다" 고 해명한다. 특히 지난 15일 기자들을 만나 "자금난이 금고발언 때문만은 아니다" 고 해명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책임을 통감한다" "결과적으로 잘못된 얘기였으며, 이에 대해 어떤 결정이 내려지든 책임을 지겠다" 고 말했다.

李수석의 발언을 놓고 '퇴진(당정개편 때)을 각오하는 자세' 로 대부분의 여권인사들은 받아들인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