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재의 Magic English] 30. Good work…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6면

let과 관련한 실용 숙어를 좀 더 살펴보기로 하자. 위 제목에서와 같은 경우 let up은 '느슨해지다' 란 의미다.

so far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다. let up은 '줄어들다' 란 뜻도 된다.

A:Is it still raining outside?(밖에 아직도 비 오니?)

B:Uh-huh, but it lets up a bit.(응, 좀 적게 와. )

let-down은 명사 형태로 '실망' 이란 뜻이다.

A:How was the movie?(영화 어땠어?)

B:It was a let down, but the movie theater is the best I have ever been to.(영화는 실망 그 자체인데, 영화관은 가본 곳 중에서 제일 좋았어. )

movie라는 단어는 '영화' 라는 뜻만 아니라 '영화관' 이란 뜻으로도 쓰이는데, 문장의 흐름을 통해 의미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 was at the movie." 라고 하면 "영화관에 있었어" 라는 뜻이고, "Let's see a movie." 하면 "영화 보자" 라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theater라고 하면 '연극이나 무용 등 공연이 상연되는 문예회관' 같은 곳을 말한다.

movie theater라고 쓸 경우 '영화관' 이란 뜻이 된다. 미국에서는 영화표를 사면 좌석이 지정돼 있지 않다. 극장에 들어가 아무곳이나 차지하면 된다.

이같이 '먼저 오는 사람이 임자' 라는 개념을 영어로는 "First come, first served." 라고 한다.

요즘 새로 생긴 극장 중에는 표를 살 때 창구(box office)에 설치된 컴퓨터 스크린상에서 좌석 확인 후 빈 자리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곳도 있다.

let one have it은 '화풀이 하다' 란 뜻. "Susan was so mad at Jake that she let him have it." (수전은 제이크에게 너무 화가 나 마구 퍼부어댔다.) let it go는 '포기하다' 는 의미다.

A:Are you still upset at Dick?(너 아직도 딕에게 화났니?)

B:Until recently, but I let it go.(얼마 전까지도 그랬는데, 잊어버리기로 했어. )

mad와 upset은 둘다 '화가 나다' 는 의미인데, mad가 더 강한 어감의 말이다.

조영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