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도 당 지도부도 “조기 전대 뭔 소리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나라당 일각에선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지도부를 쇄신하자는 목소리가 가끔 나왔다. 소장파 김성식 의원 등이 그런 주장을 했다. 이어 친박계 소수가 비슷한 얘기를 했다. 일부 언론은 그걸 박근혜 전 대표의 뜻인 것처럼 크게 보도했다. 박 전 대표가 정몽준 대표의 세종시 당론 변경 움직임을 비판하며 “한나라당이 국민의 신뢰를 잃게 된다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한 걸 그런 관측의 근거로 삼기도 했다. 그러자 친박계 주류나 당 지도부가 “뭔 소리냐”라며 조기 전대론을 일축하고 나섰다.

박 전 대표 비서실장 출신인 유정복 의원은 24일 “박 전 대표는 조기 전대를 전혀 검토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도 이날 “친박 측에서 조기 전대 검토 운운한다는 말이 있지만, 근거가 없는 소설 같은 이야기”라며 “박 전 대표는 그와 관련해 말을 한 적도, 논의해 본 적도 없다”고 했다.

박 전 대표의 한 측근은 “박 전 대표가 자신의 전대 출마 가능성을 보도한 일부 언론에 불쾌감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전 대표는 (자신이 당 대표로 선출돼) 대통령과 여당 대표가 갈등하는 상황이 벌어지면 국익에 도움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친박계 소수가 조기 전대를 언급한 건 박 전 대표가 지금 당권을 장악해야 한다고 봤기 때문이다. 그래야 ▶세종시 원안을 지킬 수 있고 ▶지방선거 때 당 장악력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나 그런 생각은 박 전 대표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는 게 측근들의 주장이다.

주류 진영에서도 조기 전대설을 차단했다. 장광근 사무총장은 24일 “조기 전대론이 당의 단합과 결속에 도움이 될지 굉장히 우려한다”고 말했다. “밖의 적과 싸워야 할 지방선거를 앞두고 (조기 전대 논란으로) 우리의 힘을 소모하는 게 과연 생산적인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정몽준 대표도 근래 “풀어야 할 현안이 많은 만큼 현 시점에서 조기 전대가 적정한지는 의문”이라고 했다. 측근인 전여옥 전략기획본부장은 “정 대표가 정치적 승부수를 던지는 형태로 조기 전대를 하자고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정애·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