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히로뽕등 모든 마약 사흘이면 구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히로뽕, 대마, 중국산 마약 분불랍명편(芬拉明片)과 펜타민 알약, 신종 마약 엑스터시(일명 도리도리), 대용(代用)마약 염산날부핀.

중앙일보 취재팀 2명이 72시간 동안 국내 각지에서 구입할 수 있었던 마약류 목록이다.

비용은 모두 1백40만원. 1년 전만 해도 3백만원 이상 하던 물량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주문에서 구입에 이르기까지 특별한 어려움을 느낄 수 없었다.

지난달 14일 오전 1시 인천 남동구 A모텔 304호실. 40대 초반의 남자가 취재팀 2명 앞에 히로뽕 1g을 내밀었다. 30여회분으로 가격은 1백만원. 서울 근교 유흥가의 한 단란주점 마담에게 휴대폰 번호를 남긴 지 불과 48시간 만.

같은 날 오후 8시 대마 재배 산지가 밀집해 있는 충남 서해안 한 낚시터. 낚시꾼을 가장한 취재팀이 대마초 얘기를 꺼내자 20대 남자가 대마 한 움큼을 내밀었다.

"한 봉투에 15만원씩 구해줄 수 있다" 며 "서울에서 유행하는 알약(마약)과 교환하자" 고 제안해 왔다.

점(點)조직을 통한 은밀한 마약거래는 이제 옛날 이야기다. 마음만 먹으면 마약은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상황이 돼버렸다.

외국산 마약의 반입량은 적발된 것만 올 상반기 2만6천7백여g.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9.1% 증가했다.

그러나 반입 수법의 지능화와 물류(物流)서비스의 향상 등으로 적발되지 않는 마약이 엄청날 것으로 검찰 등 관계기관에선 진단한다.

지난달 13일 밤 무작위로 찾아들어간 서울 영등포의 한 단란주점. 여종업원에게 취재팀의 한 기자가 마약중독자라고 속이자 K양(25)은 "얼마 전 히로뽕 1g을 50만원이라는 헐값에 샀다" 며 "원하면 팔겠다" 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그녀는 "일단 먼저 써보라" 며 중국산 신종 마약 12알을 내밀었다.

취재팀은 지난달 15일 'www.xxxxxstore.nl' 등 마약 판매 사이트에 엑스터시 6캡슐을 12달러50센트에 신용 카드로 주문했다.

그러자 정확히 이틀 후 "물건을 소형소포로 포장해 택배(宅配)로 보냈다. 집에서 받아보라" 는 e-메일이 도착했다.

정선태(鄭善太)대검 마약과장은 "값싼 중국산 마약의 대량 유입과 인터넷을 통한 자유로운 국제간 거래가 마약 대중화를 부추기고 있다" 며 "전 국민적인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라고 말했다.

기획취재팀=이상복.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