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재의 Magic English] 12. I deposited…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6면

deposit은 '…에 두다' 라는 뜻인데 돈과 관련된 경우 '은행에 예금한다' 는 의미다.

A:Bob, did you get paid?(밥, 봉급 받았니?)

B:Sure, and I deposited the check in the bank.(그럼, 은행에 입금했어. )

A:How come?(왜?)

B:I was afraid that I'll blow it in one night.(하루 만에 전부 다 써버릴까 봐. )

check는 '수표' 라는 뜻이지만, 미국에서는 봉급을 수표로 받기 때문에 봉급이란 뜻으로도 사용된다.

미국의 봉급 단위는 주급(weekly pay)과 격주로 받는 경우(biweekly)가 가장 흔하다.

돈과 관련해서는 '예치금(보증금)' '계약금' 등 다양한 의미의 명사로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된다.

A:This is a nice looking apartment.(이 아파트 멋진데. )

B:Oh, thanks. I was lucky.(응, 고마워. 운이 좋았거든. )

A:I bet it cost you a lot to get it.(얻는 데 아주 비싸겠는데?)

B:Not really, all that required was the first month rent and one month deposit.(꼭 그렇지도 않아. 첫달 임대료와 한 달치 보증금만 있으면 됐거든. )

미국에서 주택이나 아파트 임대는 전부 월세다. 예치금(보증금)은 '월세를 안낼 경우' 를 고려한 선금이기에 우리의 고액 전세금과는 의미가 다르다. 보증금은 보통 1~2개월치 임대료 정도의 액수가 일반적이다. 신용도가 좋지 않은 세입자에게는 보증금을 더 많이 달라고 하거나 보증인을 요구하기도 한다.

뉴욕처럼 아파트 수요가 모자라는 도시에서는 세입자의 신용도가 아파트를 얻는 데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갓 이민간 사람이나 유학생들은 아파트를 얻는 데 돈이 더 필요하다.

'nice looking' 은 물건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사용돼 '(외관상) 좋아 보인다' 는 경우에 쓰인다. 물건을 사기 위해 먼저 내는 '계약금' 도 deposit이다.

"John left $200 deposit on his new car." (존은 새 차를 사는 데 계약금으로 2백달러를 지불했다.)

이밖에 'coal deposits' (탄층) 'oil deposits' (석유 매장량) 'the deposits of river' (강의 퇴적물) 등과 같이 자연현상과 관련해서는 '매장물' '퇴적물' 이란 의미로 쓰인다.

조영재 <뉴욕교육센터 유학담당.정상학원 강사>

e-mail: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