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정부 8일 대화 나설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의료계가 제시한 대화의 전제조건을 정부가 수용키로 입장을 정리함에 따라 이르면 8일께 양측이 공식적인 대화를 시작할 전망이다.

정부는 7일 오전 비공개 사회장관회의를 열고 의사협회 신상진(申相珍)의권쟁취투쟁위원장 석방, 수배자 해제, 지난 12일 연세대 집회 봉쇄에 대한 경찰의 유감표명 요구 등을 받아들이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복지부 고위 관계자는 "의료계의 파업을 풀기 위해서는 전제조건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냈다" 면서 "이같은 의견을 이미 의료계에 전달했으며 의료계에서 의견을 조율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있다" 고 말했다.

전공의협의회 관계자도 "정부가 전제조건 수용 의사를 전해왔다" 면서 "양측이 조금씩 양보하고 있으며 8일 오후 정부 관계자가 의료계에 유감을 표명한 뒤 그날 저녁부터 대화할 것" 이라고 말했다.

최선정(崔善政)보건복지부장관은 7일 오후 의협회관을 방문, 사회장관회의 결과를 설명하고 의료계도 양보할 것을 촉구했다.

하지만 정부는 의료계의 전제조건을 수용하되 진료복귀나 파업수위 완화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의료계는 정부의 카드가 자신들을 협상장으로 나오게 하는 요건일 뿐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파업 해제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정부와 의료계의 공식대화가 시작되면 15일로 예정된 의과대학 교수들의 진료현장 전면 철수라는 최악의 사태는 면할 가능성이 커졌다.

신성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