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통증, 통증의 증상을 정확히 알고 치료하자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 중 하나가 바로 ‘직립보행’을 한다는 점이다. 이에 중력이라는 수직의 힘을 받기 때문에 허리통증은 사람이라면 한번쯤 경험하는 흔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허리통증에도 그 증상에 차이가 있다. ‘목포미래병원’의 양경호 원장은 “흔히 대부분이 사람들이 생각하는 허리통증은 단순히 허리가 아픈 증상만으로 생각하는데, 허리뿐만 아니라 하지에도 통증을 느낄 수 있다.”고 설명한다.

때문에 자신의 증상이 단순히 허리가 아픈 것인지, 아니면 양측 엉덩이 둔부 방사통(사방으로 퍼지는 통증)을 동반하는 것인지, 하지로 저린감이 동반(하지 방사통)되는 것인지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허리통증으로 인한 질환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허리근육이나 인대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염좌’와 디스크의 변성탈출 등에 의한 ‘추간판 탈출증’, 골 인대 변형에 의한 ‘척추관 협착증’, 나이가 들어가며 뼈가 약화되면서 생기는 요추부 불안정성과 전방 전위증 등이 바로 대표적인 허리질환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 외에도 감염이나 염증 종양 등도 요추부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염좌’의 경우에는 허리를 움직이지 못할 정도로 통증이 심하나 하지 방사통은 없는 것이 특징이며, 치료는 약 2~3일간 절대 안정하고, 약물·물리치료 등을 병행하면 약 2주 이내 대부분이 호전된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나아지지 않거나 더욱 악화될 경우, 또는 하지 방사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추간판(디스크) 병변을 의심해 봐야 한다는 것이 양경호 원장의 설명이다.

추간판 병변은 ‘추간판 변성’과 ‘추간판 탈출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추간판 변성은 추간판 내부의 수분 함량이 떨어져 탄성을 잃고 딱딱해지는 질환으로 주로 앉아있기가 힘들고, 허리에 힘이 빠지는 듯한 느낌이 있는 증상을 보인다.

다음으로 우리가 흔히 허리디스크라고 말하는 ‘추간판 탈출증’은 추간판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으로, 요통과 동반해 하지 저린감이 심하며 발등의 감각이 떨어질 수 있다.

양경호 원장은 “이러한 증상이 지속될 경우, 병원을 찾아 허리 방사선 검사를 비롯해 신경이 눌리는 부위 확인을 위한 MRI 촬영을 시행해야 하며, 결과에 따라 그에 맞는 치료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기 디스크 증상은 약물요법과 허리 신경근 주사 등으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증상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목포미래병원에서는 척추내시경과 척추 현미경을 이용한 수술을 시행, 척추뼈와 근육 손상은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환자들을 치료하고 있다. 이 외에도 척추 내 고주파 열치료술과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감압술 등의 시술을 시행하고 있는데, 이는 전신마취가 필요 없는 비교적 간단한 시술로 고령자나 전신마취가 힘든 환자에게 유용한 시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양경호 원장은 “허리통증이 비교적 흔한 질환이기는 하지만, 일상생활 속 생활습관 개선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며 “평상시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도움말: 목포미래병원 양경호 원장

<본 자료는 정보제공을 위한 보도자료입니다.>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