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장관급 회담 제의 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북한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의 6.15 공동선언을 실천하기 위한 골격과 틀이 만들어진다.

27~29일의 남북 장관급회담은 남북 협력.교류의 정상회담 정신을 구체화하기 위한 첫 이정표의 의미를 갖고 있다.

◇ 총괄적인 실천체제 마련〓통일부 당국자는 "이번 회담은 공동선언의 실천체제를 만드는 것" 이라며 "공동선언 이행 전반을 다루는 총괄적 성격을 지닌다" 고 말했다.

구체적인 개별사업 논의보다 현안의 우선순위를 매기고 각 분야를 원활히 협의해 나갈 하위체계를 만든다는 얘기다.

이 당국자는 "장관급회담의 정례화를 포함, 분야별로 후속회담을 이어갈지 또는 아예 분야별로 상시 협의기구를 만들지 북측과 협의할 것" 이라고 설명했다.

공동선언에 명기되지 않았지만 군의 핫라인 개설 등 군사적 긴장완화와 평화체제 정착문제도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정부측은 기대하고 있다.

반면 공동선언 1항 '자주적 통일' , 2항 '연합제와 낮은 단계 연방제안의 공통점 지향' 등 '통일론' 에 대해 정부측은 소극적 자세다.

통일부 당국자는 "통일론은 현안이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사안" 이라고 말했다.

◇ '실사구시(實事求是)형' 회담〓정부측은 이번 회담의 주관심사가 공동선언 4항의 경제교류협력, 즉 상호이익을 내는 분야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의선(京義線)복원, 전력 지원, 북한 내 공단조성 등 기대가 고조되고 있는 경협분야가 본격 추진될 것이라는 얘기다.

◇ '김정일 답방' 논의〓정부관계자는 "金위원장이 1~2차례의 고위급회담 이후 서울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고 상기시키며 "회담이 순조로울 경우 분위기를 살펴가며 협의하게 될 것" 이라고 했다. 金위원장의 최측근인 김용순(金容淳)아태평화위원장이 올 경우 답방논의 가능성은 더 커진다.

◇ 남북 수석대표 누가 될까〓총괄회담인 만큼 대북정책을 조율하는 박재규(朴在圭)통일부장관과 임동원(林東源)국가정보원장이 수석대표 후보로 손꼽히고 있다.

그러나 林원장의 경우 국정원장 타이틀이 부담스러운 데다 서울에서 개최되는 만큼 전면에는 나설 필요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나머지 4명의 대표는 경제.사회문화 관련부처 차관 또는 차관보급에서 결정될 전망. 정부 관계자는 "국방부 대표가 참여할 가능성도 있다" 고 해 남북 군 인사간의 회담여부도 주목된다.

김정일 위원장이 "용순비서가 한번 서울을 갔다 오라" 고 이미 말한 만큼 북측은 장관급인 김용순 위원장이 가장 유력한 수석대표로 거론되며 송호경(宋浩景)부위원장의 배석도 예상된다.

사회문화쪽에서는 김영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부위원장, 군쪽 인사가 올 경우 상장급(남측의 중장급)정도인 인민무력성 국장급 정도가 올 것이라는 게 우리 당국의 전망.

무엇보다 정상회담 때 얼굴을 드러냈던 임동옥 통일전선부 제1부부장(차관급)등 金위원장 핵심측근들 위주로 대표단이 짜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