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서두르기로…합병 아니면 분산매각도 검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내년엔 금융권 지각변동의 진폭이 상당히 커질 전망이다. 정부가 내년에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에 속도를 내기로 하면서다. 정부는 그동안 우리금융 보유 지분 34%를 팔아 4조881억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했다. 정부가 우리금융에 투입한 공적자금은 총 12조7663억원이다. 현재 남아 있는 정부 지분 66% 가운데 소수지분인 16%는 조속히 매각하고 나머지 지배지분을 팔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배지분의 매각 방법으로 우리금융과 다른 금융회사를 합병하거나 여러 투자자에게 분산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우리금융의 자회사인 경남은행·광주은행 등을 분리해 팔아 민영화에 속도를 내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다만 구체적인 매각 시기는 유동적이다. 권혁세 금융위 부위원장은 “지배지분 매각은 여러 방안을 열어놓고 검토하겠다”며 “시장 상황이 있어 매각 시기를 못박을 수 없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의 민영화는 외환은행의 매각과도 관련이 있다.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가 내년에 외환은행을 매각하겠다고 밝히면서 KB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 산은금융지주 등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내년에 외환은행의 주인이 확정되면 남은 은행들이 우리금융에 관심을 둘 가능성이 크다.

금융권에선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의 합병 가능성이 이미 제기됐다. 우리금융의 민영화가 내년을 넘길 경우 2011년 농협중앙회에서 분리되는 농협금융지주도 우리금융과 합병할 수 있는 잠재적 파트너로 거론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우리금융과 기업은행, 산업은행 등 정부가 주인인 은행을 모두 합병하는 ‘메가뱅크’ 방안이 나오기도 했다.

9월 말 자산기준 2위(328조원)인 우리금융과 다른 금융사의 합병이 성사되면 합병사는 국내 최대의 금융회사가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 인수합병(M&A)이 일어날 가능성도 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