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주재 외교관 50명, 아프리카 등 오지로 발령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44호 22면

지난해 봄 외교관들의 대거 이동이 있었다. 본부와 미국·프랑스·독일 등 선진국 주재 외교관 32명이 아프리카·중동·중앙아시아·중남미 등 이른바 특수지로 대거 이동한 것이다. 자원외교의 최전선을 담당하는 ‘에너지 거점 공관’을 지정하면서다. 여름에는 다시 20여 명이 이동했다. 현재 에너지 거점 공관은 78개다. 외교관들에게 ‘에너지’는 ‘북한’만큼 중요한 정보 수집 대상이 됐다. 21개 공관에서는 현지 전문가들을 아예 공관장 보좌관으로 채용했다. 독일·일본처럼 에너지자원대사직도 신설했다.

조현 에너지자원대사는 “외교부가 해외 동향을 지식경제부 등 관련 부처와 민간 업계에 신속하게 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별 특성을 자원 개발 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기도 한다. 아프리카의 경우 과거 식민 지배를 했던 유럽 국가의 영향력이 아직도 크다고 한다. 조 대사는 “한 기업은 콩고(DRC)에서 과거 식민 지배 국가인 벨기에 회사와 협력해 광물 개발 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에너지 사업은 1~2년 안에 성과를 낼 수 없는 일”이라며 “장기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정보 흐름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너지 거점 공관들은 생필품 확보나 의료 서비스, 자녀 교육 환경이 열악한 곳이 많다. 지난해 9월 유엔 대표부 근무 뒤 주 카메룬 대사관 창설 요원으로 단신 부임했던 유홍근 참사관이 과로로 인한 심근경색으로 순직하기도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