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장애인 자립자금 '별따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저소득 장애인들의 자활을 돕기 위해 확보한 자금이 적은 데다 융자 조건이 까다로와 당초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전북도는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자활.자립이 가능하고 재산 6천만원 미만 및 월 소득 40만원 미만인 장애인에게 1천2백만원(연 7.5%)씩 빌려주기 위해 다음달 말까지 대상자를 선정키로 했다.

그러나 확보한 자금이 11억4백만원으로 92명 분에 불과 전북지역 등록 장애인이 3만2천여명인 데 비해 턱 없이 적은 형편이다.

이 때문에 전주시를 비롯한 일부 시.군의 경우 자금 신청자가 1백명이 넘고 있으나 선발 인원은 10명안팎에 그쳐 대상자를 고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장애인들이 가난해 땅.건물 등 재산이 없으나 융자 때 담보를 요구, '그림의 떡' 에 그치는 경우가 많은 형편이다.

교통사고로 한쪽 다리를 못쓰고 직장까지 잃은 姜모(38.전주시 덕진구 우아동)씨는 "조그만 가게라도 해보려고 융자 신청을 했으나 경쟁율이 50대1이나 된다" 며 "선정돼도 담보물이 없어 걱정" 이라고 말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이용하려는 사람은 많은데 자금은 적어 어려움이 많다" 며 "예산을 늘리고 대출조건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 고 말했다.

전주〓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