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산불피해 주먹구구식 복구 말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여의도 면적의 48배에 달하는 동해안 지역의 산불 피해복구를 놓고 자연회복, 또는 인공조림 등 여러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복구사업은 정확한 피해조사가 이뤄진 뒤에 추진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복구방법을 예단하는 것은 합리적인 대책을 강구하는 데 방해요인이 될 뿐이라고 생각한다.

산림청은 지난 17일부터 임업연구원 등 전문가 60명으로 조사반을 편성,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

피해지역이 5개 시.군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돼 있어 이번 조사는 피해 전지역을 항공사진을 촬영해 정밀하게 분석할 계획이다.

25일께 1차 조사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복구계획을 수립할 예정인데, 크게 세가지 방향이다.

첫째는 응급복구다. 산불로 토양유실 등이 우려되는 지역은 장마가 닥쳐오기 전에 사방사업 등 응급복구를 실시, 2차 혹은 3차 재해를 방지할 방침이다.

두번째는 인공복구다. 송이산지.경관지역 및 완전소실로 자연복구가 불가능한 지역 등이 그 대상이다.

그러나 이 경우 심게되는 나무의 종류는 피해정도와 토양조건 등을 고려해 결정하게 될 것이다. 셋째는 자연회복이다. 피해규모가 너무 광범위해 인공복구에는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피해정도와 입지여건에 따라 자연회복이 유리한 지역이 그 대상이 될 것이다.

참고로 1996년 고성 산불 피해지의 경우 3천7백62㏊ 중 22%에 해당하는 8백20㏊의 산림을 자연회복 지구로 정한 바 있다.

이러한 복구방법은 거듭 밝히지만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정확한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협의해서 결정해야 할 일이다. 따라서 산불 피해지를 그냥 방치해 자연회복에 맡겨야 한다거나, 경제성있는 나무로 인공복구를 해야 한다는 성급한 주장은 삼갔으면 한다.

끝으로 산림청은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최적의 복구방법을 모색하는 한편 산불 피해지역을 국민교육 및 자연생태 경관지역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강구할 계획이다.

조연환<산림청 사유림지원국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