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DJ 평양 경호 어떻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6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둔 우리 관계당국이 최우선적으로 관심을 기울이는 대목은 역시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신변보호 문제다.

평양 체류기간 중 金대통령의 안전문제는 일단 북한측(호위사령부)의 '선의' 와 '신뢰' 에 맡겨 해결해야 할 부분일 수밖에 없다.

정부 당국자도 "사전에 신변보장각서를 교환하는 등 정상회담에 임하는 양측의 선린.화해정신이 이 문제 해결의 토대가 될 것" 이라고 했다.

그러나 유사시에 대비한 우리측의 자체 준비도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대목. 우선 50여명으로 예상되는 경호요원의 무기휴대 여부가 관심이다.

1994년 'YS(김영삼)-김일성' 정상회담 준비 때 우리측 경호원들의 권총과 무전기 휴대, 금속탐지기 사용에 막판 합의를 이뤘었다.

다만 회담장 내의 근접 요원에게는 총기휴대가 금지됐다. 기관단총 등 우리측 요원의 자동화기 반입에도 북측은 당시 난색을 표명, 이번에도 협상결과를 지켜봐야 할 전망이다.

경호작전의 또다른 핵심은 비상통신망. 94년에는 북한측과 논란에 평양에 머무르는 우리 대통령과 서울의 연락에 단절이 없도록 남북 직통회선과 별도의 위성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의했었다.

이번에도 우리측은 '최첨단 통신' 을 반입.사용한다는 계획. 남북간 직통 전화회선 외에 컴퓨터를 통한 평양~서울간 연락, 그리고 위성을 경유한 중계망인 SNG(Satellite News Gathering)방식을 채택하기로 해 북측의 수용여부가 주목된다.

다만 북한측은 우리측이 최첨단 정보통신망을 사용할 경우 북한 내부를 역(逆)도청할 우려도 한때 제기한 바 있어 진통도 예상된다.

만의 하나 돌발 사태에도 대비해둬야 한다는 게 우리측 판단. 지난 94년에도 우리측은 치밀하게 대통령 비상탈출 계획을 세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최악의 경우 수행원들까지 '포기' 하고 극소수의 최정예 경호요원들이 대통령을 중국대사관으로 피신시킨다는 시나리오였다.

중국 공안당국과의 사전협의 속에 회담장~중국대사관~해상탈출로 등의 도상(圖上)탈출로를 검토하는 등 영화 '미션 임파서블' 을 방불케 하는 내용이었다는 게 94년 당시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사전답사를 위한 선발대에게 주어진 임무 중 하나도 회담장 주변의 지리 익히기 등 비상대책을 위한 '준비' 였다고 했다.

이번에도 비상대책을 세울 경우 회담장으로 유력한 만수대의사당과 5㎞ 정도 떨어진 서성구역의 중국대사관이 북한과의 전통적 관계를 고려, 유력한 1차 피난처로 관측되고 있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