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교통통합카드 도입에 은행간 경쟁 치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전주시가 내년부터 카드 하나로 교통요금은 물론 물건값도 결제할 수 있는 교통통합카드를 도입키로 하자 사업권을 따내기 위한 은행간 경쟁이 치열하다.

전주시는 14일 "내년 1월부터 도입할 교통통합카드에 원래의 시내버스.택시.주차.고속도로통행 요금 납부 기능 외에 물품 결제 기능까지 추가하기로 했다" 고 밝혔다.

이 카드는 상거래 결제 기능이 더해짐으로써 활성화할 경우 연간 시장 규모가 택시 1천억원, 시내버스 3백억원을 포함해 4천억~5천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들이 이 사업권을 따내기 위해 벌써부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사업자로 지정되면 수십만명의 고객을 자연스럽게 확보할 수 있어 일반 영업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현재 전북은행과 한미은행이 가장 적극적으로 뛰고 있다.

전북은행은 전주시내에 34개의 점포망을 가지고 있고, 시 금고라는 점을 내세워 적임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미은행은 교통통합카드를 자사가 처음 제안했고, 카드 운용 기술력이 월등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시는 최근 두 은행으로부터 사업계획서를 제출받아 검토 중이며, 다음달 말까지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교통통합카드는 반도체칩을 내장해 돈을 내고 일정 금액을 충전한 뒤 이용한 금액 만큼 지워가는 일종의 전자화폐다.

이미 부산.서울서 사용되고 있으나 음식점.유통업체 등에서도 쓸 수 있는 것은 전주시가 처음 추진하고 있다.

시는 우선 내년에 시 인구의 절반에 해당하는 30만개를 만들어 보급하기로 했다. 카드 제작엔 개당 1만원이 드는데 20% 가량을 개인에게 보증금 명목으로 부담시킬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교통통합카드가 도입되면 시민들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업체의 경영이 투명해지고, 그 결과 세수도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며 "기술력과 투자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사업자를 선정하겠다" 고 밝혔다.

전주〓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