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대]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서구와 일본의 학생운동은 1960년대 후반이 전성기였다. 제3세계의 사회주의혁명 열기와 겹친 시점이어서 세계사적 의미도 크다.

이매뉴얼 월러스틴 같은 학자는 공산당선언이 발표된 1848년과 학생운동 극성기인 1968년을 '진정한 의미의 두 혁명' 이라고 평가한다. 68년 학생운동은 '정치권력을 획득하지 않고도 세계를 변화시킨 유일한 혁명' 으로도 불린다.

60년대 후반의 한국은 본격적인 독재체제로 이행하던 시점이었다. '혁명' 이라는 말은 군사쿠데타를 미화하는 데 쓰였다.

그러나 우리는 그 전에 이미 4.19와 6.3의 전통을 갖고 있었고, 70년대의 민청학련 세대와 80년 '서울의 봄' 세대, 광주항쟁 세대, 그리고 이른바 386세대를 배출했다.

변혁운동에는 뒷얘기가 따른다. 90년대 중반 우리 문단에 쏟아져 나왔던 '후일담 소설' 도 한 예다. 또 쟁쟁했던 운동가들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처지와 성향이 바뀌기도 한다.

5년전 일본에서는 60년대 학생운동 조직 전공투(全共鬪)에 몸담았던 4천9백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일이 있다.

40대 후반 나이로 사회 각계에 다양하게 퍼져 있던 응답자들은 '현재의 최우선 관심사' 로 자신의 직장과 일(17.1%), 두번째로는 노후.복지문제(16.2%)를 꼽았다.

정치참여.사회운동이 세번째(13.1%)로 꼽혔고, 자녀교육(7.8%)과 가정(7.6%)을 든 사람도 적지 않았다.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최루탄에 맞서거나 아사마 산장에서 총을 들고 혁명을 부르짖던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한국의 경우 80년대는 아직 너무 가깝다.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다투어 386세대를 영입한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물론 출마에 앞서 적절한 통과의례를 거쳤어야 했다는 비판도 많다.

80년대 학생운동 참여자 중에는 고문후유증.생계곤란 등으로 거의 폐인이 되다시피 한 이들도 적지 않은데 몇몇은 '화려하게' 정계에 입문하는 현실에 허탈감을 표하는 시각도 있다.

어제 서울 여의도에선 일부 서울대생들이 정당 공천을 받은 386세대 정치인에 반대하는 '386정신 왜곡 보수정치인 규탄대회' 를 열기도 했다.

김광규는 시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에서 4.19세대가 혁명 후 18년 만에 '혁명이 두려운 기성세대가 되어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지만, '짐짓 중년의 건강을 이야기했고 또 한 발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기는' 풍경으로 모임이 끝났다고 노래했다. 386세대의 정치권 진입만은 '늪' 에 발을 들여놓은 모양새로 끝나지 않길 바랄 뿐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