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가스공사, 가스 자주개발률 25%로 높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9면

한국가스공사는 이번 금융위기의 여파를 가장 혹독하게 겪은 기업 중 하나다. 지난해 석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천정부지로 뛰자 국내 가스 도입을 책임지는 가스공사의 조달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하지만 금융위기로 나라 경제가 어려워지자 정부는 판매가격 인상을 허락하지 않았다. 결국 지난해 3조원가량의 적자가 났다. 국민을 대신해 금융위기의 방패막이 역할을 한 셈이다.

위기 상황을 맞아 가스공사는 두 가지 자구책을 내놨다. 하나는 조직을 슬림화하는 것이다. 경영임원제도를 폐지하고 본부 3개와 사업소 3곳을 없앴다. 2012년까지 정원도 10.7%(305명) 줄이기로 했다. 임원 보수한도를 감액 조정하고, 2급 이상 직원의 임금인상분을 반납했다. 불필요한 자산은 모두 팔아치웠다. 코렐테크놀러지 등 4개의 출자회사 지분을 매각했고, 수도권의 사택도 팔거나 전세계약을 해지했다.

또다른 탈출구는 자원 개발이다. 가스공사는 이미 세계 천연가스 시장에서 큰손이 됐지만 지난해 시장에서 쓴맛을 톡톡히 봤다. 자체 생산능력이 없다보니 생산국들이 값을 올리는 데는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이다. 그래서 2007년 1%에 그친 자주개발률을 2017년까지 25%(850만t)까지 높인다는 계획을 세웠다. 회사의 모습도 단순 유통회사를 넘어서 생산회사로 탈바꿈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주강수 사장은 지난해 10월 취임 이후 기획·지원 위주의 조직을 자원본부 중심의 사업체계로 확 바꿨다. 호주·러시아·동티모르 등에서의 가스개발·액화사업은 물론 멕시코·태국·중국 등의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 건설·운영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천연가스 장기 확보 3대 비전도 내놨다. 2015∼2017년 러시아산 가스 도입, 2030∼2040년 ‘불타는 얼음’으로 불리는 동해 가스하이드레이트 상용화, 2040∼2060년 북극가스 개발 등이다. 이미 지난해 9월 러시아 가즈프롬과 2015∼2017년부터 연간 최소 750만t을 도입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밖에 자원 보고인 남미와 아프리카에 교두보를 마련해 ‘에너지 실크로드’를 개척한다는 것이 회사의 장기적인 비전이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