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이어 데이콤도 파업 돌입…공공부문 확산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서울지하철공사 노조 (위원장 石致淳)가 19일 오전 4시부터 파업에 들어간 가운데 정부는 "21일 자정까지 현업에 복귀하지 않는 노조원은 내부 규정에 따라 전원 직권면직될 것" 이라고 밝히는 등 강경대응에 나섰다.

민주노총 산하 공공운수사회서비스연맹 (공공연맹) 소속 한국전력기술.지역난방공사.데이콤 등 17개 노조 6천여명 (노동부 집계 7곳 1천2백여명) 도 이날 파업.총회투쟁 등에 들어갔다.

서울지하철 노조의 파업에 연대하기 위한 것이어서 공공부문으로의 파업 확산 등 장기화할 공산이 커지고 있다.

◇ 파업 = 서울지하철 파업에는 조합원의 86%인 8천4백여명이 참여했다.

서울시와 공사측은 대체인력을 투입했으나 일부 전동차 운행이 지연되면서 출근길 시민들이 지상과 지하에서 혼잡에 시달렸다.

시와 공사.노조는 19일 새벽까지 막바지 협상을 벌였으나 구조조정 백지화를 주장하는 노조측과 양보할 수 없다는 시.공사측의 주장이 맞서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민주노총 및 공공연맹 조합원 등 1만여명은 19일 오후 2시 서울역 광장에 모여 파업전진대회를 가졌다.

민주노총은 23일까지를 '중앙집중 투쟁기간' 으로 설정했다.

민주노총은 5월 1일 노동절까지 거의 매일 가두집회를 강행하면서 정부가 직접 교섭에 나서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 정부 대응 = 검경은 고발된 지하철 노조원 2백50명 중 석치순 위원장 등 노조 간부 63명에 대해 법원으로부터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검거에 나섰다.

정부는 또 불법파업을 주도한 노조 지도부를 상대로 거액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방침이다.

대검 공안부 (秦炯九검사장) 는 19일 유관기관과 공안대책협의회를 갖고 이같은 파업 대응책을 마련했다.

검찰 관계자는 "9천6백여명의 노조원 중 이날 현재 5일 이상 결근자가 3천여명에 달해 이들이 사규의 시한인 21일까지 업무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면직처분할 수 있도록 서울시 등과 협의를 마쳤다" 고 밝혔다.

사회부.전국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