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화해 제의' 한나라당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여권의 화해 몸짓에 한나라당은 냉담한 자세다.

일단 외형상으론 강경기조도 누그러뜨리지 않고 있다.

"야당을 파트너로 인정한다" 는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서는 "지난해 11월 총재회담 전에도 똑같은 얘기를 했지만 회담 후 노골적 야당탄압을 한 경험이 있지 않느냐" 고 했다.

여당의 성실한 자세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말로서가 아니라 정치사찰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자에 대한 사후처리 약속 등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26일 오전 열린 총재단회의에서도 "야당파괴 음모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데 대화해본들 무엇하느냐" "총재회담 제의는 말로만 흉내내는 것" 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고 안택수 (安澤秀) 대변인이 전했다.

한나라당은 그러면서도 金대통령에 대한 직접적 비난과 공세는 자제하고 있다.

얼마전과는 달라진 모습이다.

모처럼 조성된 대화무드를 먼저 깨지는 않겠다는 뜻이다.

대신 김중권 (金重權) 비서실장, 박지원 (朴智元) 공보.이강래 (李康來) 정무수석 등 청와대 비서진을 도마에 올렸다.

마산집회 강행을 비난한 이들의 발언을 조목조목 짚으며 "대통령의 뜻을 받들어야할 비서관들이 오히려 일이 성사되지 않도록 걸림돌이 되는 발언을 하고 있다" "수석비서관으로서의 자세가 안된 망발" 이라고 비난했다.

수석비서관들에 대한 해임요구 발언까지 나왔을 정도다.

신경식 (辛卿植) 총장은 "이회창 총재의 총재회담 제의를 일개 비서관이 '사과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는 한마디로 깔아뭉갰다" 며 "대통령의 말 뒤에는 총재회담이 결렬됐을 때 책임을 야당 탓으로 돌리려는 의도가 숨어있다" 고 비난했다.

한나라당은 마산에 이어 31일 포항에서 대규모 장외집회를 강행할 참이다.

그러나 한편으론 총재회담 전제조건의 철회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신축적 대응자세를 보이고 있다.

安대변인은 "우리 당이 내건 요구에 대해 여당의 성의표시가 확인되면 대여 (對與) 요구조건의 변화를 검토해볼 수 있다" 고 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