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 공무원 이공계 출신 26% → 30%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2013년까지 고위공무원단(3급 이상 공무원) 10명 중 3명은 이공계 출신으로 채워진다. 5급 기술직 비율을 40%대로 높이기 위해 기술계 고등학교와 전문·기술대학의 추천을 받아 특별채용하는 ‘기능 인재 추천 채용제’가 도입된다.

행정안전부는 19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공직 내 이공계 인력 지원 종합 계획안’을 확정했다고 보고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2013년까지 고위공무원단의 이공계 인력 임용을 현재 26%에서 30%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특히 문과계가 사실상 독점하다시피 한 인사·예산·조직 관련 부서에 이공계 출신의 보임을 확대키로 했다.

또 이공계 인력의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해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교육과정에 이공계 인력 이수 비율을 확대하고 5급 이하의 기술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일반행정 교육 시간을 확대할 방침이다.

행안부 이종민 인사평가과장은 “4급 이상부터 줄어드는 이공계 출신 고위공무원 비율을 높여 국가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우수한 이공계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능 인재 추천 채용제’를 도입한다. 공개 채용과 특별 채용을 통한 5급 신규 채용 인력 중 기술직 비율을 40% 수준으로 유지, 중간 단계부터 이공계 인력풀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지난 5년간 추진한 제1차 계획에 대해 5급 이상 행정·기술직 공무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의 70%가 “이공계 공직 진출 확대 정책이 이공계 기피 현상 완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고 행안부는 밝혔다.  

김경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