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판문점 총격요청 사건' 대선 5일전 알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판문점 총격요청사건에 관한 정보는 대선전 국민회의에 포착됐던 것으로 1일 밝혀졌다.

국민회의측은 대선 5일전인 지난해 12월 13일 "한나라당 이회창 (李會昌) 후보측이 96년 4.11총선 때의 판문점 무력시위와 비슷한 사태를 일으키려 한다" 는 제보를 받은 바 있다는 것이다.

안기부 조사 결과가 사실이라면 제보가 접수된 때는 이미 이들이 베이징 (北京)에서 북한측의 답변을 받지 못해 귀국 (12월 12일) 한 뒤였던 셈이다.

사건제보 속에는 "D데이는 선거 이틀전인 12월 16일이며 청와대 관계자가 포함됐다" 는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됐다는 게 국민회의 관계자의 전언이다.

일단 국민회의 선거캠프는 물증이 없어 대외적으론 '설 (說)' 을 제기하는 수준에서 끝내야 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즉시 비상대책회의를 갖고 다각도의 방지책에 착수했다.

먼저 방북했던 '옥수수 박사' 김순권 (金順權) 교수를 통해 "무슨 일이 있어도 남한 선거에 개입해선 안된다" 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냈다.

당시 金교수는 이미 국민회의에 입당, 김대중 (金大中) 후보 지지를 호소한 바 있다.

이후 북풍차단팀을 지휘했던 천용태 (千容宅) 국방장관이 평소 닦아둔 인맥을 총동원, 안기부.기무사 등 대북 관련 기관의 동태를 체크하며 북한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또 千장관은 권영해 (權寧海) 안기부장과 만나 선거개입을 절대 시도하지 말 것을 경고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판문점에서 뭔가를 꾸민다는 정보를 입수했는데 만일 불상사가 발생하면 절대 가만 있지 않을 것" 임을 강조했다는 후문이다.

한편 선거 관계자들은 당시 김대중후보에게 이같은 사실을 보고해 봐야 심경만 불편하게 할 뿐 별다른 수가 없다고 판단, 보고하지 않았다가 당선 3일후인 21일 전말을 알렸다.

남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