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산학연 공동연구관' 의견대립으로 빈채 방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1백여원의 예산을 들여 건립된 대학내 산.학.연 공동연구관이 교수들간의 의견대립으로 준공 4개월이 지나도록 기업 입주를 미루고 있다.

충남대는 지난 6월 지하 1층, 지상 10층, 연면적 3천7백평 규모의 '산.학.연 연구관' 을 준공했다.

이 연구관은 지난 94년 교육부의 국책공과대학 육성책에 따라 국고 72억원을 지원받는 등 모두 1백7억원의 공사비를 투입, 2년3개월간의 공사 끝에 완공됐다.

그러나 이 건물은 준공된지 4개월이 지나도록 운영방안에 대한 대학내의 이견으로 일부 사무실과 실험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공간이 텅 빈 채로 방치되고 있다.

연구관 건설과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충남대 국책사업단 (단장 趙統來금속공학과교수) 은 당초 충남대 공대의 특성화 과제인신소재 관련 기업.연구소를 집중 유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IMF 구제금융이후 경제난이 심화되며 관련 기업과 연구소가 투자를 축소해 당초 방침에 차질이 생겼다.

이에 따라 국책사업단은 그 대안으로 지역내 벤처기업을 유치키로 하고 지난 2월 50여개 업체로부터 입주 신청을 받았다.

하지만 공간배분 문제와 운영을 둘러싼 뚜렷한 원칙이 없어 대학 내부의 의견 대립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일부 교수는 건물 건설비가 신소재 연구란 국책과제에서 나온 만큼 관련학과의 실험실 확충에 우선권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한편에서는 벤처기업을 입주시키더라도 교수들이 운영에 관여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연구관 전체의 운영을 외부전문회사에 맡겨야한다는 방안도 제기됐다.

입주를 신청한 金모사장은 "신청한지 8개월이 지나도록 대학에서 아무런 연락이 없다" 며 "대학측의 무성의로 시설을 설치하고 생산을 해야하는 기업만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고 비난했다.

趙단장은 "경제난에다 까다로운 행정절차로 당초 계획이 어그러지며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고 시인하고 "입주신청 벤처 기업 가운데 일부라도 빠른 시일내에 입주할 수 있도록 애쓰겠다" 고 밝혔다.

대전 = 이석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