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큰 조치 땐 북·미 국교 정상화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한·미가 북핵 문제를 놓고 ‘포괄적 패키지’의 윤곽을 가다듬기 시작했다. 방한 중인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20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위성락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났다. “두 사람은 북핵 문제는 양국 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진행하되 종래와 다른 접근을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고위 외교 당국자가 전했다. 이 당국자가 언급한 ‘종래와 다른 접근’은 포괄적 패키지를 뜻한다.

그는 “(포괄적 패키지는) 완벽하고 검증 가능한 비핵화를 위한 모든 요소가 들어가는 것”이라며 “(북한에서) 비핵화의 큰 조치가 있다면 북·미 국교 정상화까지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북핵 접근법은 단계적·부분적 방식이었다. 북한이 단계적으로 핵 폐기를 향해 가면 이에 상응하는 단계적 보상을 해주는 식이었다. 그러나 이 당국자의 설명을 종합하면 이제는 ‘합의→보상→북한 반발→설득→재합의’ 식의 지지부진한 반복을 탈피해 핵과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의 완전 폐기와 대북 경제 지원, 북·미 관계 정상화 등을 동시에 올려 한번에 해결하는 방식이다. 캠벨 차관보는 이날 오전 국내 중견 언론인과 조찬간담회에서 “평양이 핵 없는 한반도로 돌아가는 ‘되돌릴 수 없는(irreversible)’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한다면 나머지 6자회담 당사국들은 포괄적 패키지를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포괄적 패키지’ 방식은 한국 정부의 북핵 접근법과도 일치한다. 이미 지난달 16일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대통령 사이에 교감이 있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이날 전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 미온적으로 제재하고 보상을 되풀이하는 과거 방식에서 탈피, 실질적 핵 폐기와 보상을 연계한 패키지 안을 6자회담 참가국 중 북한을 뺀 5개국이 먼저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이를 재확인하며 “정상회담 당시 오바마 대통령도 이런 패키지 안에 대해 공감을 표시했으며, 당시 미국 측 핵심 관계자는 ‘그랜드 바게닝(Grand Bargaining)’이란 표현을 썼다”고 덧붙였다. 포괄적 패키지라는 윤곽은 나오고 있지만 여기에 담길 구체적 내용은 관련국 간 협의로 만들어질 전망이다.

◆“북한은 버릇 없는 아이”=인도를 방문 중인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20일 ABC방송의 ‘굿모닝 아메리카’에 출연해 “북한은 버릇 없는 아이와 같다”며 “북한이 미사일 발사 등을 통해 얻으려 하는 건 끊임없는 관심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이를 키워본 내 경험으로 보면 그런 아이는 관심 받을 자격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우리에게 위협이 되지 못하지만 동맹국인 일본과 한국이 (북한의 위협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채병건·남궁욱·이충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