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국민신당 통합의미]정계개편 가속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민회의와 국민신당의 통합은 여소야대 (與小野大) 정국이 여대야소 (與大野小) 로의 변환을 알리는 예고편이다.

양당의 통합으로 공동여당의 의석은 1백44석 (국민회의 94석.자민련 50석) 으로 늘어나게 됐다.

여기에 한나라당 전당대회 후 탈당할 의원들을 영입하게 되면 여권은 곧 안정적인 과반의석 (1백50석) 을 확보하게 된다.

10월 개최예정인 경제청문회의 강도나 증인선정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국민신당의 뿌리가 김영삼 (金泳三) 전 대통령의 민주계이기 때문이다.

당분간 합당에 참여하지 않기로 한 한이헌 (韓利憲) 의원은 청문회 전개상황을 지켜보면서 동참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그는 金전대통령에게 칼을 들이대는 곳에 몸을 담기엔 정치 도의상으로나 지역정서 측면에서 어려운 측면이 있다.

국민회의가 사실상 국민신당을 흡수통합하면서도 '당대당 통합' 에 기꺼이 합의해준 데는 여러 가지 계산이 깔려있다. 우선 국민신당 의원들에게 통합 동참의 명분을 제공한 것이다.

개별입당은 모양새도 좋지 않고, 보다 큰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기도 어렵다.

국민회의와 국민신당이 합당 명분으로 세대교체와 지역통합을 부각시키려 하는 대목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국민신당이 지난해 대선에서 영남지역의 상당한 지지를 얻어냈다는 점도 당대당 통합의 성사 배경 중 하나다.

여권 소식통은 "이인제 (李仁濟) 고문이 자민련의 공동대표 제의 등을 뿌리치고 국민회의에 입당한 점에 유의해 보라" 고 말했다. 세대교체와 관련된 여권 최고 핵심부와의 교감이 있었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양당은 내년 5월 전당대회에서 현재 20명 가까운 부총재의 숫자를 대폭 줄여 5명 이내의 실세 부총재제로 전환하기로 이면합의했다고 한다. 이 시기에 李고문이 영향력 있는 부총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렇지만 李고문과 국민신당 의원들도 정치적 부담은 있다. 당장 "국민회의의 2중대임을 입증했다" 는 한나라당 공세에 시달려야 할 판이다.

양당의 통합이 성사되면서 한나라당 전당대회 이후 별도의 교섭단체를 구성할 움직임을 보이는 초.재선 의원들도 한나라당 잔류와 여당 입당의 두 갈래의 선택을 강요받게 됐다. 한나라당을 탈당한 뒤 머무를 중간 정류장이 없어진 것이다.

또 이들이 여당에 입당할 경우에도 국민신당과 같은 대우를 기대하며 단체행동을 하려할 가능성이 있다.

여권은 내심 이번 당대당 통합이 총재 경선과정에서 소외된 일부 한나라당내 민주계 의원들을 끌어들이는 지렛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도 하다.

정치권 사정 (司正) 과 맞물려 양당 통합은 바야흐로 정계에 일대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김두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