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박한 야당의원 집단탈당 파장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이제 곧" 하며 말만 많던 한나라당 일부와 국민신당 의원들의 '헤쳐모여' 움직임이 가시화된다.

이는 가을 정치판의 격변에 앞선 예고편이다.

결정적 전기가 될 한나라당 총재경선 전당대회를 앞둔 예진 (豫震) 의 성격도 있다.

야당의원들의 여권 줄입당, 최종 거취 결정을 앞둔 일시적 무소속행, 한나라당 당권장악이 어려운 그룹의 제2야권 형성 등 예상되는 변화의 조짐들이 슬슬 나타나고 있다.

◇ 신 (新) 4당체제 = 한나라당 소장파 일부의 반란 움직임은 이미 당 분열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갔음을 보여준다.

정치권은 특히 이회창 (李會昌) 명예총재가 당권을 쥘 경우 패한 쪽에서 신당을 만들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한다.

여권도 제2야당과 사안에 따라 연대, 국정을 순탄하게 끌고갈 수 있는 구도를 위해 '2여 (與) 2야 (野)' 체제를 고대해 왔다.

때문에 한나라당내에선 "여건이 안될 경우 여권이 지원해서라도 창당을 시킬 것" 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제2야당의 비중은 내각제 개헌 문제 공론화가 시작될 연말께부터 부쩍 커지게 된다.

개헌의석 (재적의원 3분의2 이상)에 캐스팅보트를 쥘 위치 때문.

국민회의.자민련 두 여당간 세 (勢) 경쟁이 벌어질 경우엔 양쪽으로 일부가 흡수될 수도 있고, 여권과 범여 (汎與) 연대의 한축을 이룰 가능성도 없지 않다.

◇ 무소속 구락부 = 한나라당 일각의 독자세력화 추진도 제2야권 자리 선점과 무관치 않다.

수도권의 두 L의원과 네 K의원, H의원 등이 중심. 이들은 김덕룡 (金德龍) 전부총재의 당권도전을 포기시키고 무소속그룹의 리더로 옹립하려 했으나 金전부총재는 출마의사 고수로 멈칫한 상태다.

이들은 당내 수도권 K.L.M의원과 전국구 K의원 등에게 의사타진을 해 원칙적인 동의는 얻어낸 상태라고 말한다.

국민신당에서 무소속으로 남을 3명과 무소속인 H.C의원 등과도 손잡을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하지만 목표 달성이 쉬워 보이지는 않는다.

"시기가 이르다" "구심점이 없어 각자의 이해가 걸리면 쪼개지기 십상" 등의 우려가 지적되고 있다.

'추후 유리한 행보 선택을 위한 몸값 올리기' 정도의 평가도 있다.

◇ 개별 이동 = 야당의원들의 개별적인 여권 입당은 별도로 진행될 전망. 개인 및 지역구 사정에 떼밀리는 의원들이 해당된다.

국민회의 핵심간부는 "야당의원 8명 정도가 전당대회 이전 입당할 것" 이라고 장담하고 있다.

자민련도 야당의원 영입을 위해 '자리 보장' 을 내걸고 간부들이 직접 뛰고 있다.

특히 자민련측은 부산을 비롯한 영남권 의원들을 집중 설득중이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