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산읍 철저수방 548mm 폭우 이겼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아무리 천재 (天災) 라도 준비하고 실천하기 나름입니다." 지난 96년 7월 경기북부 대홍수때 최대 피해지역으로 쑥밭이 됐던 파주시문산읍에 새로이 '물 피해없는 역사' 가 씌어지고 있다.

당시 4백43㎜ 비에 사망 1명.건물침수 2천5백여동 등 피해를 보았던 이곳은 이번에는 1백㎜나 많은 5백48㎜의 폭우가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주택 침수 1백42채의 '찰과상' 만 입었다.

이처럼 문산읍 전체가 이번 수도권 수해대란 속에서도 비교적 온전할 수 있었던 것은 파주시가 96년 수해를 교훈삼아 제방을 축조하고 폭우에 긴급 대비하는 등 완벽한 수방대책을 착실히 추진했기 때문이다.

시는 96년 당시 임진강 및 임진강과 연결되는 동문천 하류의 범람이 피해의 주범이라는 분석에 따라 장마가 끝나자마자 이해 가을부터 동문천을 중심으로 한 20㎞구간 양쪽 제방을 종전보다 평균 3~4m 높이는 공사에 나서 지난 3월 마무리했다.

또 경의선 철길 때문에 제방을 높일 수 없었던 문산4리 국제플라자 앞 동문천 제방에는 1백여t의 흙을 마대 1천개에 담아 제방변에 쌓아두는 치밀함을 보였다.

여기에다 지난 5일 막상 비가 쏟아지기 시작하자 철야대기중이던 공무원 전원과 일부 주민들이 오후 11시부터 2시간 동안 학생들의 통학로인 문산파출소 앞 지하보도를 덤프트럭 5대 규모의 흙으로 일시적으로 막아 동문천이 넘치더라도 물이 시가지로 흘러들지 못하도록 하는 등 '수해 전력 고참' 답게 기민한 대처를 했다.

또 2년 전 5천t 처리규모이던 문산배수펌프장의 시간당 배수용량을 1만1천t으로 2배이상 늘린 것도 이번 수해를 막는 데 주효했다.

문산1리 문산중앙시장에서 30평짜리 포목점을 운영하는 박정래 (朴貞來.62) 씨는 "2년 전 수해때는 1층 상가 전체가 물에 잠겨 1억원의 재산피해를 당했지만 올해는 피해가 전혀 없었다" 며 빈틈없는 수해방지 대책을 실천한 파주시에 고마워했다.

파주 = 전익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