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노동계 자제를”모처럼 한목소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여야 정치권은 14일 경제회생을 위해 노동계의 자제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모처럼 한 목소리를 냈다.

국민회의는 간부회의를 열고 노동자들의 파업에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경제 구조조정이 추진중인 현 상황에서 파업이 발생하면 대외신인도가 크게 실추, 국내외 투자의욕이 위축되므로 어떻게든 파업을 막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신기남 (辛基南)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정부가 노사정위원회 위상을 강화하고 노동계와의 성실한 대화를 약속한 현 시점에 민노총이 파업에 들어간 것은 큰 유감" 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국민회의는 정부에 대해서도 노동자와 경찰간 무력충돌 등 불행한 사태를 피하기 위해 파업 자제를 최대한 설득하고 협상하는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노동자들의 불만을 사왔던 기업들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자민련은 노동자들의 자제를 당부하는 한편 고용승계 등과 관련된 기업과 정부측 양보를 요구했다.

김창영 (金昌榮) 부대변인은 "파업이 구조조정을 지연시키고 국내외 자본가들의 투자마인드를 위축시켜 더 많은 실업을 양산시킬 게 불보듯 뻔하다" 고 논평했다.

한나라당 역시 일단 파업 자제를 촉구하고 나섰다.

연쇄파업이란 극약처방이 경제사회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이 심대하다는 점을 내세우며 신중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장광근 (張光根) 부대변인은 "우려를 금치 못한다" 면서 파업결정 재고를 촉구했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노동계의 분노를 유발시킨 정부의 무능력.무대책도 비난을 면할 길이 없다" 며 정부에도 비난의 화살을 돌렸다.

원칙없는 기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대량실업 사태와 노동자에 대한 고통 전가의 일차적 책임은 여권이 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정민.남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