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간첩 침투]청와대·정부표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북한 무장간첩 사건에 대응하는 정부의 모습이 달라졌다.

북한 잠수정 사건때 보여준 '유연한' 태도는 찾아보기 힘들다.

대북 정책 기조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햇볕정책' 이라는 말은 잘 안쓰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상당히 격앙돼 있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은 13일 임동원 (林東源)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으로부터 중앙합동신문조의 조사 결과 등을 보고받고 "이번에는 강력 대처하라" 고 지시했다.

박지원 (朴智元) 청와대대변인도 "명백한 북한의 도발행위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 며 지난번 북한 잠수정 사건 때와는 달리 즉각 북한을 규탄했다.

그간 대북 햇볕정책을 열심히 설파해온 林수석도 "지금 상황에서 어떻게 북한에 (鄭周永현대그룹명예회장의) 소떼를 보내겠는가" 하며 역시 잠수정사건 때와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였다.

청와대측은 이번 사건으로 보수층과 야당의 햇볕정책에 대한 공격이 거세져 국회의원 재.보선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 햇볕정책을 강조하지 않고 대북 강경자세를 당분간 지속한다는 방침.

○…국방부는 물론 초강경 자세다.

잠수정 사건때 청와대 눈치를 보며 뜨뜻미지근하게 반응했던 때와는 판이하다. 국방부는 13일 한.미 군사위원회 상설회의가 끝난 뒤 "북한에 강력한 항의와 함께 재발방지를 촉구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

한.미간의 긴밀한 군사협력을 통해 북한의 도발행위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한다는 방침도 확인했다.

미국 방문중 급거 귀국한 천용택 (千容宅) 국방장관도 한미연합사 관계자들에게 "판문점 장성급회담에서 철저하게 따지라" 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대북 포용정책 견지 원칙에 따라 해당기업과 기관에 현대의 금강산개발사업 실무진 방북, 세계식량계획의 대북 식량지원 시기조절 등을 일임하기로 결론.

이상일.이영종.최익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