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경제]전문가 조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부의 각종 통계치들이 보여주는 내수경기의 침체정도는 본지 조사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산업생산추이와 생산자제품 출하량을 실물경제의 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1분기중 두 지표는 각각 전년 동기대비 마이너스 15.2% 및 11.5%가 감소했다.

본지가 조사한 거리경제 주체들의 체감지수인 마이너스 50%이상과는 현격한 차이다.

그만큼 정부통계가 서민경제의 피폐도를 제대로 반영치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처럼 극도로 위축돼 있는 소비경제를 활성화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대한상공회의소 민중기 유통담당이사는 "중소규모의 개별 점포들이 경쟁력을 갖도록 체인점 형태 등의 조직화.협업화를 통해 유통비용을 줄이는 것이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고 말했다.

판매가격을 낮춰 고객의 발길을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동네 재래시장 재개발을 통해 시장상가의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정부의 시장 재개발 촉진 특별법 제정과 자금지원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고 그는 강조했다.

한국유통연구소 이범렬 소장은 "소점포일수록 구매.판촉력이 떨어지므로 개별적으로 자구책을 마련하기란 쉽지 않다" 며 "상점가별로 상점가 진흥조합 등을 구성, 공동 이벤트 등 특화전략을 통해 상가 전체를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고 말했다.

李소장은 또 상공회의소 등 경제관련 공공기관에서 점포경영 개선 방안이나 성공점포 사례, 업종전환 방향 등을 소개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희망하는 상인들에게 제공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밖에 소비자단체 등이 건전한 소비를 장려하는 캠페인이나 국민운동을 펴는 것도 필요하며 중소소매업에 대한 과세자료를 양성화시키되 세금을 감면해주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