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與 뒤탈없는 공천 고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민회의와 자민련 등 여권이 6.4 지방선거에서 가장 역점을 두는 곳은 수도권이다.새 정권의 국정운영을 튼튼히 뒷받침하기 위해서라도 이 지역에서 승리를 거둬야 한다.

이 경우 한나라당 수도권 의원들은 동요할 것이며 여권으로의 유입이 가속화할 것이기 때문이다.더구나 광역은 물론 기초단체장 선거까지 압승할 경우 한나라당은 일순간에 '지역당' 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게 여권의 생각이다.국민회의와 자민련의 연합공천 위력은 엄청나다.

"연합군의 파괴력은 가공할 정도" 라는 게 한나라당측 얘기다.그래서 이 지역의 여권 공천을 따내기 위한 경합은 본선보다 오히려 더 치열하다.

문제는 연합공천의 앞길이 순탄치 않다는 데 있다.

두 당은 이미 수도권지역 광역단체장 조정을 놓고도 홍역을 치른 바 있다.양당은 단일후보 공천을 위해 '지구당위원장간 자율조정→중앙당 차원의 조정' 이란 2단계 절차를 설정해두었다.

그러나 자율조정 시한을 몇차례 넘기면서도 대부분 지역에서 전혀 조정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양당간 배분방식도 다르다.'당선 가능성 우선원칙' 을 내세우며 인물위주 공천을 주장하는 국민회의와 '동등지분으로 나눈 뒤 인물을 선정하자' 는 자민련의 요구가 팽팽히 맞서있다.

설사 중앙당에서 조정이 이뤄진다 해도 "양보하느니 무소속으로 나가겠다" 는 예비후보들도 상당수여서 집단반발과 함께 양당후보가 동시출마하는 사태가 곳곳에서 빚어질 참이다.조정이 원만히 이뤄지지 않는다면 선거운동에 협조가 될리 없다.

여기에 최근 한나라당소속 기초단체장들의 여권 유입이 줄을 잇고 있다.경기도만 해도 23명에 달했던 한나라당 소속 시장.군수 31명중 12명이 국민회의와 자민련에 입당했다.

이들을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게 현지의 분위기기 때문이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