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29일 영결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례식이 국민장으로 치러진다. 정부는 24일 오후 한승수 총리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노 전 대통령의 장례 형식과 절차를 심의·의결했다. 장의위원회 위원장은 관례에 따라 한 총리가 맡기로 했으나 유가족 측이 공동위원장을 제의해 와 유족 추천 인사를 공동위원장에 선임하기로 했다. 유가족 측은 한명숙 전 총리를 공동위원장에 추천했다. 장례집행위원장은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이 맡을 예정이다.

국민장의 공식 명칭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으로 하기로 했다. 장례 기일은 서거한 날짜(23일)로부터 7일간으로 29일에 영결식이 진행된다. 영결식 장소는 김해시 진영 공설운동장이 유력하다. 영결식 당일에는 국기를 조기로 게양한다.

안장식은 유족이 원하는 대로 봉하마을에서 치러질 예정이다. 정부는 또 전국 각지에 분향소를 설치하기로 했다. 외국 조문사절 등의 편의를 위해 서울 역사박물관에 서울지역 분향소를 대표적으로 설치한다.

이달곤 장관은 국무회의 후 브리핑에서 “장의 내용에 관해서는 유족 의사를 일차적으로 존중하는 것이 관례 중의 관례”라며 “유족 측과 긴밀히 협의해 전직 대통령 예우에 어긋남이 없도록 정성껏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도 직접 봉하마을을 찾아 조문하기로 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이 대통령이 봉하마을로 가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며 “장례 기간 중에 조문을 할지, 영결식에 참석할지 여부에 대해선 최종 결론이 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