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듯한 살림 구조조정]월소득 44%줄어 10월입주 아파트 중도금 걱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얼마 전만 해도 '든든한' 맞벌이 아내였던 이모 (29.경기도 부천시) 씨는 다니던 회사의 부도로 이달부터 일자리와 함께 월평균 1백80만원의 수입을 잃게 됐다.

은행대리인 남편도 올해부터 특별상여금을 못받게 돼 월평균 수입이 2백65만원에서 2백50만원으로 줄어든 상태. 약 44%의 소득 감소로 인한 가장 큰 타격은 오는 10월 입주 예정으로 김포에 분양받아놓은 아파트 (32평, 9천4백80만원) 의 중도금과 잔금 (약 3천만원) 해결이다.

18평 주택 (시가 4천5백만원)에서 다섯식구가 살아와 넓은 아파트로 이사갈 날을 손꼽아 기다려왔던 터. 하지만 중도금 때문에 그동안 저축한 돈을 다 쓴 것은 물론, 4천만원의 대출까지 받아놓은 형편이다.

현재 직장인보험.암보험.운전자보험과 비과세신탁 (월30만원).비과세근로자신탁 (월10만원) , 그리고 각종 생활비와 대출이자로 이씨 가정의 월 평균 지출은 2백93만원 정도.

자가용 유지비.교육비.외식비 절약으로 30만원의 지출은 더 줄여볼 예정이지만 여전히 13만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무엇보다 당장 6월에 납부해야할 9백48만원의 중도금과 10월까지 마련해야 하는 1천8백90만원의 잔금등 목돈이 문제. 부동산 경기가 나빠 지금 사는 집도 팔기 힘들 것 같다.

전문가들이 이씨에게 권하는 최선책은 지금 손해를 보며 집을 팔기보다는 아쉽더라도 이사가는 시기를 늦추고 새 아파트는 전세를 놓으라는 것. 전세금으로 4천5백만원 이상 받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중도금은 비과세신탁 등을 해약하기보다는 몇 개월 연체했다가 전세금으로 잔금과 함께 해결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남는 전세금은 대출금을 조금이라도 갚아 이자지출을 줄이도록 한다.

생활비는 더 이상의 긴축이 힘든 만큼 비과세신탁 불입금 30만원 중 자동해약이 안될 만큼 최소금액 (분기당 3만원) 만 넣고 남는 돈으로 적자운영을 피하도록 한다.

또 이씨가 간과하고 있는 부분은 아파트 취득에 따른 각종 세금. 25.7평 이상의 분양아파트이므로 취득세.등록세.교육세.농특세등 세금만으로 분양가의 5.8% (25.7평 미만은 5.6%) 인 약 5백50만원의 현금이 더 필요하다.

만약 이사를 한다면 이사비와 주택을 넓힐 때 추가될 지 모르는 살림, 또 매달 내는 아파트관리비등 지출이 늘어나게 되므로 이사 시기는 신중하게 결정하도록 한다.

정리 = 김정수 기자 〈도움말 = 이화여대 문숙재 가정과학대학장.하나은행 문순민 PB팀장〉

◇ 알림 = 최근 급격한 수입의 변화로 가계운영에 고민하고 있는 독자 여러분의 상담을 받아 기사화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가계운영상태와 궁금증.연락처등을 적어 서울 중구 순화동 7번지 생활 과학부 (팩스 02 - 751 - 5627) 앞으로 보내주십시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