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 2차지원 20억불, 고금리 요구로 집행지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세계은행이 한국의 외환위기 지원을 위해 약속한 1백억달러중 2차분 20억달러의 집행이 금리 조건을 둘러싼 공방전 때문에 늦어지고 있다.

세계은행측은 지난해말 집행된 1차분 (30억달러) 과 같은 '고금리' 를 고집하고 있는 반면 우리 정부는 "턱없이 높은 금리는 곤란하다" 며 금리 인하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세계은행의 한 관계자는 3일 (현지시간) "금리 조건 때문에 당초 지난달말이나 이달초에 2차분 20억달러 집행 의결을 위해 열기로 했던 이사회 날짜를 아직 잡지 못하고 있다" 고 밝혔다.

세계은행은 지난해말 30억달러를 한국에 지원할 때▶리보 (런던은행간 금리.현재 연 5.6%) +1%의 금리에다▶수수료로 2%를 미리 물리고▶앞으로 2년간 1.5%씩의 수수료를 더 물도록 했었다.

이는 세계은행의 통상적 대출 금리 (리보+0.25%)에 비해 유례없이 높은 수준이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2차분부터는 금리를 낮춰 주도록 요구하고 있으나 세계은행 이사국 가운데 미.영 등 출자 지분이 많아 발언권이 센 나라들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한국이 세계은행을 졸업할 때 '경제가 악화되거나 남북 통일.석유 위기 등이 닥쳤을 때는 다시 세계은행 차관을 쓸 수 있다' 고 단서를 달았기 때문에 세계은행 차관을 다시 쓸 자격이 있으며 국제금융기구인 세계은행이 위기에 빠진 회원국에 유례없는 고금리를 물리는 것도 이치에 맞지 않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세계은행 집행부나 미.영 등은▶ '벌금' 성격의 가산금리를 물어야 하고▶국제 금융시장보다 그래도 세계은행의 금리가 아직 더 낮다는 이유를 내세우는 것으로 전해졌다.

내부적으로는 세계은행 자체의 문제도 작용하고 있다.

세계은행이 한국에 대해 갑자기 1백억달러를 대출하게 돼 신용등급을 유지하기 위해 민간은행들과 마찬가지로 쌓아야 하는 지불준비금 (대출의 13%) 이 여간 부담스럽지 않다는 것이다.

워싱턴 = 김수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