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열 번째 시집 『수양버들』 펴낸 김용택 시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9면

김용택 시인은 “지난해 8월 평생 몸담았던 전북 임실군 덕치초등학교 교사직에서 정년 퇴임한 뒤 글쓰거나 강연다니거나 아니면 논다”고 했다. [창비 제공]

 ‘섬진강 시인’ 김용택(61)씨가 열 번째 시집 『수양버들』(창비)을 펴냈다. 2006년 『그래서 당신』(문학동네) 이후 3년 만이다. 지난 번 시집은 4월, 이번에는 3월이다. “봄에만 시집 내시느냐”고 묻기 위해 전화를 건 21일, 그는 벗들과 함께 전남 광양 매화마을에 있었다. 매화를 보기 위해서다. 살고 있는 전북 임실 진메마을 봄꽃으로는 성이 차지 않아 자동차로 한 시간 반을 달려 섬진강 하류를 찾았단다. 천석고황(泉石膏<8093> ·자연을 사랑하는 고질병)도 이런 천석고황이 없다.

김 시인은 대뜸 “맞다. 시집을 대부분 봄에 냈던 것 같다”고 답했다. 흐벅진 육자배기라고나 할까. 그의 꽃 예찬은 볼만했다.

“따뜻한 햇살과 바람이 산천을 깨우면 꽃이 피잖아요? 굉~장하지요. 꽃이 지면 새 잎이 나잖아요? 그럼 어마어마하죠. 거창하고 장엄하구요. 나이 들어 요즘은 좀 달라졌지만 예전엔 꽃 피는 계절이면 한 자리에 앉아 있을 수 없을 정도였죠.”

사정이 이렇다보니 제목은 ‘수양버들’이지만 이번 시집에서도 ‘꽃’은 최다 출장기록 세우는 프로축구 선수처럼 자주 등장한다.

우선 그는 거저 피는 꽃은 없다고 노래한다. “가난 없이 노란 꽃 없다. 고통 없이 피는 흰 꽃 없다. 기다림 없이 붉은 꽃 없다”(‘성우에게’ 부분). 꽃은 한편 정열의 화신이기도 하다. “터질 것 같은 사랑으로 가득 찬 여인이 내미는 손끝으로/뜨거운 피들이 몰려 툭툭 터지던/그 희고 고운 정열의 아름다운 꽃, 꽃 이파리들, 환희여!”(‘달콤한 사랑’ 부분).

이런 꽃들인지라 시인은 그 앞에서 종종 평상심을 잃는다. “다가가서 바라보면 어지럽고 멀찍이 떨어져 바라보면 아찔합니다. 까만 가지 끝에 핀 꽃일수록 아슬아슬 더 붉고 꽃빛은 숨이 턱에 찹니다. 이러다가 자지러지겠어요. 이러다가는 저 꽃이 생사람 잡겠어요. 저 꽃빛에 홀려 따라가다가는 숨넘어가겠어요. 아니, 내가 시방 홀렸지요”(‘구이’ 부분).

한바탕 꽃의 도취로부터 벗어나면 그제야 비로소 시집 안의 다른 시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시인은 “트럭 잡화장수가 된 제자의 딸 얘기를 통해 대물림되는 양극화 문제 같은 걸 이번 시집에서 다뤄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사랑’ ‘세희’가 그런 시들이다. 그런 시인의 말과 달리 정작 눈길을 끄는 건 ‘물새’라는 부제가 붙은 ‘섬진강 28’같은 시다.

“희고 고운 모래밭을 걸어 쭈뼛쭈뼛 너는 강물로 가거라./희미한 발자국이 모래 속에 숨은 바람을 모은다./바람아, 바람아, 물가에 가지 마라./작고, 흰 배를 뒤집는 피라미떼들, 햇볕을 쬔다./천년을 뒹굴어온 모래알 몇개를 허무는 네 발소리를 들으려고/강물은 하루종일 귀를 모으며 흐른다.” 겨우 존재하는 작고 여린, 그래서 이순(耳順)을 넘긴 시인의 눈에만 간신히 포착되는, 미시(微視) 우주의 드라마가 섬진강변에는 있다.

신준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