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교육청 지침에 네티즌들 "조폭지침서 같다"

중앙일보

입력

"사법절차상 복잡한 절차를 피하기 위해 숨진 상태라도 후송 중 숨진 것으로 하고 가급적 병원으로 옮겨서 사망진단서를 떼야 한다."

이같은 내용으로 물의를 빚고 있는 경남교육청의 '학생생활지도 길라잡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298페이지에 이르는 이 책자는 경남교육청이 2002년에 독자적으로 만들어 도내 중고등학교에 배부한 것이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51페이지에 걸친 '교내 학생폭력으로 인한 사망사고 대처방안'이라는 '부록'이다.

교육부 홈페이지에 윤경희 씨는 "아이들이 괴롭힘을 당해 고민하고 자살을 선택할 때 그 뒤에는 나몰라라 하는 학교가 있고, 친절하게 지침서까지 내려준 교육청이 있었다니"라고 썼다.

이재철 씨는 "교육자란 작자들이 자기들의 보신을 위해 교내학생 자살사건을 축소은폐하려 했다니"라고 분노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교육자로서는 상상하기 힘든 조폭지침서 같다"고 평했다.

김인수 씨는 "이 기회에 스승의 날을 없애버리자"라고 주장했다.

"또 이 사건을 어떻게 조용히 넘길까 잔머리 굴리고 있나?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하는지 또 문서로 만들어 각 지방 교육청에 발송하라"라는 비아냥도 있었다.

윤여홍 씨는 "경남 교육청장님 제 자식이 학교에서 죽으면 후송 도중 죽었다고 하실 거죠?"라고 썼다.

김병훈 씨는 경남교육청 '묻고답하기' 게시판에 "그 지침서를 경남교육청 직원의 자제분이 사고 당했을 때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라고 썼다.

한편 경남교육청은 30일 고영진 교육감 등 전체직원 명의로 '2002년 학생 생활지도 길라잡이 내용과 관련한 사죄의 글'을 냈다. 교육청은 "'집단따돌림이 빚은 자살사건에 대한 대처방안' 항목에 크게 잘못된 내용이 있었다"고 시인했다. 그러나 "이 자료집 이후 2003년과 2004년 새로운 자료집이 밝간됐으며 새로 만든 자료집에는 이같은 내용이 들어있지 않다"고 해명했다. 교육청은 이어 "자료발간에 대한 자체조사를 철저히 실시해 명백한 업무상 오류를 범한 관련 공직자에 대해 엄중 문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센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