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 생각은…

대한민국 건국에 대한 자부심 확보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1일 정초 아침 도올 김용옥의 신문 칼럼을 보고 충격을 받은 독자는 비단 필자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는 칼럼에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 60년’을 운운할 수는 있다. 그러나 어떻게 ‘건국 60년’을 운운한단 말인가? 60년 이전의, 단군 이래 반만년의 역사가 건국의 역사가 아니란 말인가?”라고 썼다. 이명박 정부의 공식적 대변기관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어떻게 역사적 사실을 이토록 왜곡할 수 있느냐며 사안을 비약시키고 본질은 뒷전에 둔 채 호통만 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필자를 더욱 어리둥절하게 하는 내용은 또 있다. 그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교육용 책자가 대한민국의 건국의 공로를 1948년 정부 수립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몫으로 돌리는 것이 마땅하다고 했다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그에게 묻고 싶다. ‘건국 60년’이라고 할 때 건국 앞에 ‘대한민국’이라는 낱말이 생략된 것을 모르고 그렇게 혹독하게 비판했는가? 아니라면 이 사실을 알면서도 지난 10년 동안 ‘해방 공간 3년’에 대한 해석을 독점하다시피 한 소위 진보사학계의 비위를 건드리면 득될 것이 없다고 판단해서 그랬는가?

문화체육관광부의 『건국 60년 위대한 국민 -새로운 꿈』 책자의 전체적 맥락은 그나 광복회가 그토록 흥분할 만한 내용이 담겨 있지 않다고 본다. 오히려 책자 중반부는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헌법 전문의 정신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국가 구성의 3대 요소는 국민, 영토, 그리고 주권이라는 개념정의로 볼 때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근대국가로 분류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무리가 없는 학문적 사고라 할 수 있다.

‘광복’이라는 거대한 담론에 짓눌려 감히 ‘건국(대한민국)’이라는 말도 꺼내지 못하고 살았던 소위 ‘우파 독립운동가’들과 그 후손의 이야기도 이제는 빛 가운데로 나올 때가 되었다. ‘유엔이 인정하는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인 대한민국의 ‘건국’에 대한 자부심과 정당성의 확보야말로 통일의 그날을 대비하는 모든 국민의 자세일 것이다.

김일주 건국 대통령 이승만 박사 기념사업회 운영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