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3개월 輸血뒤 死活결정 -종합금융사 참여따라 부도방지협약 일단 가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은행과 종금간의 대립으로 자칫 파행을 겪을뻔한 부도방지협약이 은행의 양보로 일단 모양새를 갖춘채 가동됐다.이에 따라 진로는 8백4억원의 긴급자금으로 앞으로 3개월간은 도산위기를 면해 연명할 수 있게 됐다.

은행들은 일단 진로가 쓰러지지 않게 버팀목으로 세워둔뒤 평가기관의 분석을 토대로 더 돈을 넣어 살릴 것이냐,정리할 것이냐를 종금사와 함께 정하게 된다.

이로써 진로그룹의 장래는 오는 7월말의 제2차 채권금융기관 대표자회의에서 결판나게 됐다.이 회의의 결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신용평가기관의 기업평가보고서▶진로의 자구노력 이행실적▶㈜진로등 자금순환이 좋은 기업의 영업실적등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업.서울.제일은행등 진로계열사들의 주거래은행들에서는 ㈜진로등 현금수입이 좋은 기업은 살리되 나머지는 과감히 정리해야 한다는 쪽으로 실무진들의 의견이 모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진호(張震浩)회장이 정상화추진대상 6개사 가운데 1~2개사를 매각하겠다고 밝힌 것도 은행측의 이같은 분위기를 감지한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진로는 긴급자금을 지원받는 대신 주식담보와 주식포기각서를 제출해야 하므로 경영권을 반쯤 내놓은 셈이다.따라서 은행의 이같은 결정이 나오면 張회장의 경영권이 1백% 보장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좋은 기업만 놓아두고 어려운 기업들을 정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이 채권은행들의 고민이다.계열사들 사이에 빚보증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다른 계열사들을 정리할 경우 빚보증을 서준 ㈜진로까지 덤터기로 쓰러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정상화추진대상으로 지정받지 못한 계열사들의 자금압박도 무시못할 변수가 되고 있다.이들은 부도유예의 혜택을 받지 못하므로 돌아오는 어음을 못 막으면 그대로 부도가 나고 이때 보증을 서준 타 계열사에까지 파급효과가 연쇄적으로 미치기 때문이다.

남윤호 기자

<사진설명>

진로의 채권금융기관들은 28일 오후 은행연합회에서 첫번째 채권금융기관 대표자회의를 열고 진로그룹에 대한 긴급 자금지원을 결정했다.이에 따라 진로는 일단 한 고비를 넘긴 것으로 보인다. 김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