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 에너지, 서해 - 물류, 남해 - 관광산업 특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전남 광양, 경남 하동 등 남해안 지역이 해양 관광의 중심지로 육성된다. 서해안은 물류기지, 동해안은 에너지 산업의 거점 지역으로 개발된다.

국토해양부는 18일 동·서·남해안 개발에 대한 청사진을 내놓았다. 3개 지역 중 가장 먼저 개발되는 곳은 남해안이다. 부산·경남·전남에서 남해 바다에 접한 여수·광양·남해·하동 등 35개 지역이 대상이다.

전체적으로 관광을 기반으로 하되 지역별 특성에 따라 부가적인 사업이 추진된다. 남해안의 동쪽 부분은 부산 신항과 부산 강서 물류단지를 중심으로 물류산업으로 특화된다. 남해안의 중간 지역은 여수·진주 중심의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11조원에 이르는 2012년 엑스포 관련 투자가 밑거름이 된다. 남서쪽은 영암·해남 기업도시를 중심으로 목포 신항 개발이 추진된다. 남해안을 따라 목포~순천~진주~마산~부산으로 이어지는 철도망도 재정비한다.


국토부 동서남해안발전기획단의 이충재 과장은 “이미 남해안 현장 실사를 마쳤으며 24일 지역별 보고도 마무리된다”며 “내년 1분기 구체적인 사업을 발굴하고 2분기까지 주민 의견 수렴과 공청회를 끝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해안은 중국과 아시아 지역을 염두에 둔 물류 중심지로 특화한다. 평택·태안·군산 등 25개 시·군·구가 대상이다. 첨단 해양산업의 중심지이자 동북아의 국제적 비즈니스 거점으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관광 부분은 서해안 갯벌을 십분 활용한 체험형 레저산업 위주로 개발한다. 올해 안에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협의체를 구성하고, 내년 1월에 종합적인 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동해안은 에너지·바이오 산업 클러스터로 육성된다. 울주군·동해시·포항시 등 15개 시·군·구가 개발 대상 지역이다. 19일 연구용역을 발주하면 내년 초부터 현지 실사가 진행된다. 신재생 에너지와 관련된 기업·대학·연구기관을 한 데 모아 집중적인 연구와 개발이 이뤄지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해외 해양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기지도 들어선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