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 민주계 잇따라 위기대응 모임-黨政개편등 의견 교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신한국당 민주계 중진인사들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한보사태 이후 잔뜩 움츠렸던 이들은 최근 들어 연쇄모임을 갖고 있다.확인된 중진회동만도 네차례다.최형우(崔炯佑).서석재(徐錫宰).김덕룡(金德龍).김명윤(金命潤)의원과 김수한(金守漢)국회의장의 13일 5인회동,여기에 박관용(朴寬用)

.김정수(金正秀)의원이 합세한 19일 7인회동에 이어 21일에도 이들은 모였다.

연쇄회동은 노동법 파문과 한보사태 이후 확산된'민주계 위기론'에 대응키 위한 단합의 자리였다는게 참석자들의 설명이다.

그러나 이들의 잦은 회동은 또다른 관측을 낳고 있다. 중진들이 나선만큼 한보사태 이후의 국정수습 대책에 대해서도 깊은 논의가 오갔을 것이라는 점에서다.특히 임박한 당정개편과 관련한 모종의 의견들이 오갔다는 얘기도 무성하다.

때맞춰 여권 내에선'민주계 전진배치론'이 확산되고 있다.민주계 전진배치론은 문민정부를 탄생시킨 민주계가 마무리도 책임져야 한다는 논리로 민주계의 역할을 강조하는 주장이다.여권내 일각에서 흘러나오는 민주계 대표설도 이들의 회동과 무

관치 않다는게 정가의 분석이다.더구나 연쇄회동 참석멤버중 한명은 20일 김영삼(金泳三)대통령과 단독면담을 해 회동에서 논의된 내용이 전달됐을 것이라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들의 회동에 대해 아직 청와대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다만 민주계 전진배치론에 대해선 여권내에서도“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것”이라는 비판적 시각이 만만치 않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신한국당에선'더이상 계파가 없다'며 계파모임이 자제돼 왔다.때문에 한보 국면을 빌린 민주계 중진회동의 여파가 어떻게 나타날지 주목된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