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내달 초 재개”

중앙일보

입력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6자회담 참가국들 간에 6자회담 틀 내에서 북핵 사태를 논의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이 역할을 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제16차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페루를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右)이 22일 오전(현지시간)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中), 아소 다로 일본 총리와 함께 기자들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리마=오종택 기자]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도 3국 정상이 북한의 핵 신고 내용과 영변 핵 시설 불능화 검증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6자회담을 개최키로 의견을 모았다고 발표했다. 페리노 대변인은 “(한·미·일) 3국 정상이 6자회담을 재개한다고 합의했다. 공식 발표는 중국이 하게 될 것이며, 개최 시기는 다음 달 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부시 대통령은 6자회담 합의에 따라 지난달 중순 북한을 테러지원국 지정에서 해제했으나 북한과 미국 간 핵 신고 내역 검증 방안을 놓고 의견차를 좁히지 못해 6자회담 개최가 지연돼 왔다. 북한도 6자회담 재개에 동의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중국이 조만간 개최 일정을 발표할 것이란 사실이 공개된 점을 감안하면 북한과 어느 정도 조율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은 3국 정상회담에서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도 초기에 북한과 어려운 시기가 있었으나 대북정책은 진정성과 일관성을 갖고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은 “북한이 약속을 지킬 수 있도록 강한 검증 체제를 유지해야 하고 특히 ‘행동 대 행동’의 원칙에 따라 북핵을 검증하는 문제에 3국이 힘을 합쳐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APEC 정상회의, DDA 돌파구 연내 마련키로=APEC 회원국 정상들은 22일(현지시간) 국제 금융위기 해결 방안의 하나로 세계무역기구(WTO)가 주도하는 다자 무역협상인 도하개발어젠다(DDA) 협상의 돌파구를 연내 마련키로 결의했다. 이날 페루 수도 리마에서 열린 첫날 회의에서 정상들은 “교착 상태에 빠진 WTO 무역협상의 합의점을 다음 달까지 찾기로 결의한다”는 내용의 특별성명을 발표했다.

워싱턴=이상일 특파원, 리마=최상연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