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코 피해 중소기업 30곳 다음 주 초 긴급자금 지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다음 주 초부터 환헤지 상품인 키코(KIKO) 피해를 본 중소기업들에 긴급경영안정자금이 지원된다.

중소기업청은 키코 피해 우선 지원 대상 기업 30개에 대해 27일까지 자금 지원을 완료하고, 나머지 기업(48개)도 다음 달 지급을 마치겠다고 밝혔다. 중기청 백운만 기업금융과장은 23일 “일단 300억원을 직접 지원하고 시중은행들도 다음 달 지원을 시작할 것”이라며 “지원 대상 기업 선정 작업을 이미 마쳤다”고 말했다. 이번에 이뤄지는 긴급경영안정자금은 최근 중기청과 기업은행, 지역신용보증재단연합, 시중은행이 모여 키코 피해 기업의 유동성을 지원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중기청은 또 키코 거래 중소기업에 대한 유동성 실태조사를 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정책자금을 올해 안에 추가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중기청 관계자는 “현재 긴급경영안정자금에 대한 대한 신청이 폭주하고 있어 정책자금을 더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기청은 내년에도 긴급경영안정자금 3000억원을 편성해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에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중기청이 21~22일 키코 가입 기업 53개사에 대한 ‘유동성 지원 방안’ 조사 결과에서도 정부의 직접 지원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조사 대상 중소기업의 업체당 유동성 부족액은 올해 약 28억원, 내년에는 59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사 대상 중소기업 중 대부분(83%)이 은행의 자율적인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패스트 트랙)을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키코 손실 규모에 비해 지원 규모가 적고, 심사 기간이 길다는 등의 불만(33.9%)이 많았다. 반면 만족스럽다(6.5%)는 소수에 그쳤다. 중소기업 유동성 지원을 위한 요구사항으로는 정책자금 확대(38.1%), 민간 금융업체에 대한 지급보증(27.0%), 정책금융 신청 요건 완화(20.6%) 순이었다.

장정훈 기자

◆키코=원-달러 환율 하락에 따른 손실을 피하기 위해 기업들이 가입한 파생상품이다. 환율 변동폭을 미리 설정해둔 뒤 환율이 그 안에서 움직이면 기업이 이득을 본다. 하지만 환율이 하한선 아래로 떨어지면 계약이 무효가 되고, 상한선 위로 올라가면 가입한 기업이 손해를 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