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한국의역군들>15.KIST 금속연구부 조영환박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7면

지난달 15일 전남광양에서는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연산(年産) 1백80만 규모의 광양제철소 제5고로(高爐)착공식이 열린 것이다.5고로가 완공되는 98년 포항제철은 세계 1위의 철강기업이 된다.
그러나 철강을 비롯한 금속 가공기술은 아직도 선진국 수준을 쫓아가기에 급급한 수준이다.
이처럼 외화내빈(外華內貧)의 우리 금속 가공기술을 세계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나선 그룹이 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재동(沈載東)금속연구부장등 10명의 정예요원이 그들이다.
그중에서도 조영환(曺映煥.35)선임연구원은 전자기 야금기술 개발 연구책임자로 『우리 국력에 비해 떨어지는 금속가공기술을 기필코 정상에 올려놓겠다』는 야심만만한 포부에 차있다.
『철강및 금속산업에서 우리가 우위를 가지는 것은 신형 장치로값싸게 만들기 때문입니다.그러나 부가가치가 높은 특수강이나 신소재 개발은 뒤지는 실정입니다.』 전자기 야금은 철강.동.알루미늄등 금속의 부가가치를 높이는데 필요한 핵심기술.
고부가가치 합금이나 신소재를 만드는데는 교반(攪拌.휘저어 섞기)과 유량(流量)제어.응고(凝固)등의 과정에서 고도의 기술이요구된다.특히 주재료와 각종 부재료를 균일하게 섞는 것이 중요하다.그러나 기존의 불활성 기체를 이용한 거품 휘젓기는 기체의혼입과 거품 노즐부분의 마모등으로 한계가 있다.
『액체상태의 금속은 자력의 영향을 받습니다.노(爐)밖에 전자기 장치를 해 전류를 통하면 플레밍의 법칙에 의해 유도자기장이생겨 혼합물이 골고루 섞이게 됩니다.』 윤재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