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반환뒤 경제.외교정책 방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내년 7월 홍콩의 주권 반환이후 홍콩의 경제.외교정책이 부분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외교정책=중국은 내년 7월 홍콩반환후 대만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남아프리카등 13개국의 홍콩주재 영사관등 외교기구를 폐쇄키로 방침을 정했다고 이날 산케이(産經)신문이 홍콩의 중국소식통을 인용,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조만간 이같은 방침을 해당국가에 전달하고 대만과 단교를 재촉할 방침이다.
소식통은 최근 베이징(北京)에서 중국 외교부와 홍콩문제를 담당하는 홍콩.마카오 판공실(辦公室),국영 신화(新華)통신사 홍콩지사 관계자등이 참석한 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전했다. 현재 대만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는 남아프리카.라이베리아.중앙아프리카.세네갈.볼리비아.도미니카공화국.도미니카(카리브해의 소국).그레나다.온두라스.파나마.파라과이.세인트루시아.
통가등이다.
이들 국가는 중국의 요구에 따라 대만과 단교하지 않을 경우 현재의 영사관 또는 총영사관을 무역대표부등으로 격하시킬 수밖에없을 것으로 보인다.
◇경제정책=홍콩 정청은 홍콩의 주권국가인 중국이 대외 경제제재조치를 취하면서 홍콩에 동참을 요구할때 이를 따르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이를 위한 법안을 작성중인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홍콩의 영자지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홍콩 정청내에서 극비리에 회람중인 문건을 입수,이같은 내용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홍콩은 미.중 무역전쟁이 일어날 경우 경제적 자율성을 잃고 무역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무역과 산업정책 부서의 한 대변인은 『우리는 주권반환후 중국이 외교정책상 취하는 대외 경제제재조치가 홍콩에서도적용될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콩.도쿄= 유상철.김국진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