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징계 싸고 3金대립 비난戰-윤리特委 초반부터 옥신각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25일 문을 연 국회 윤리특위(위원장 邊精一의원.신한국당)는처음부터 시끌벅적했다.특위는 위원장 선출 뒤 이신범(李信範.신한국당).유재건(柳在乾).한화갑(韓和甲.이상 국민회의).박철언(朴哲彦.자민련)의원 징계요구안을 상정,심의에 착수했다.
그러나 柳의원에 대한 징계부터 대립했다.징계요구는 사유 발생부터 「5일 이내에 해야 한다」는 국회법을 놓고 격론이 벌어진것이다. 국민회의는 『柳의원은 대표연설후 5일이 지난 뒤 제소됐기 때문에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반면 신한국당은 『기산점은 징계사유가 되느냐의 판단이 섰을 때』라고 주장했다.
옥신각신 끝에 柳의원을 뺀 나머지 의원만 상정하고 柳의원 문제는 다음 회의때로 미뤘다.
징계요구제안설명에서 여야는 다시 한번 「3金대리전」 형식의 비방으로 치달았다.
신한국당 김학원(金學元.서울성동을)의원은 『한화갑의원은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이 92년 1조원의 돈을 선거에 사용했다는 허위사실을 유포했으며,박철언의원은 金대통령의 통치를 「바람몰이 깜짝쇼」로 묘사하며 인신모독성 발언을 했다』고 공 격했다.
이에 국민회의 정세균(丁世均.진안-무주-장수)의원은 『이신범의원은 국민회의 김대중(金大中)총재를 비난했으며 자민련 김종필(金鍾泌)총재를 인권유린자로 몰아세우는 모욕적 발언을 했다』고맞섰다.이번 제소건은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서로 소를 취하하는 선에서 타협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4.11총선공정성시비특위(위원장 睦堯相의원.신한국당)는첫 회의조차 열지 못하고 있다.
25일에도 睦위원장과 여야간사들이 모였지만 조사대상 선거구와증인 선정을 둘러싸고 의견이 맞섰다.
정선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